정부세종청사에 들어선 수소충전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세종청사에 들어선 수소충전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수소 생산 기술과 인프라 등에서는 선진국에 크게 뒤쳐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국내 수소 경제 현황과 과제를 분석해 국내 수소 기술력이 활용에만 치우쳐 있다며 원천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소는 활용 과정에서 유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다. 2050년께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18%를 차지할 정도로 빠른 성장이 전망된다.

수소 경제 시장 규모도 2050년께 2조5000억 달러(약 2940조원)까지 커지고, 총 30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은 한국 수소 경제가 수소전기차, 연료전지발전 등 활용 분야에 한해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지난해 승용 부문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 4194대를 기록, 전 세계 1위에 올랐다. 수소연료전지 발전량도 세계 최고 수준인 408MW다.

하지만 이러한 활용 기술력을 뒷받침할 수소 생산 등 원천 기술과 인프라는 미국, 일본 등 선도국에 크게 뒤처졌다는 것이 전경련의 지적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수소 경제 관련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은 활용과 생산, 인프라 부문별로 각각 52%, 23%, 13%였다.

전 세계 수소 경제 관련 특허 출원에서도 한국 비중은 8.4%로, 일본(30%)보다 적었다. 수소차 충전소 수는 일본의 3분의 1에 불과했다.

전경련은 다른 경쟁국들이 최근 수소 생산기술 개발과 수소 확보,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한국도 생산과 저장·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U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친환경) 수소 개발에 집중해 2030년까지 20~40GW(기가와트) 규모 물 분해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했다.

일본은 2030년까지 호주, 브루나이산 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고, 수소충전소도 900개로 확대한다. 후발주자인 중국도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1000개를 설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한국이 수소 활용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이를 뒷받침하는 수소 확보와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