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주세 인상 이후 주류업체도 가격 올릴 듯 지난해 많이 오른 식품류 가격 인상이 새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식품업체들은 재룟값이 올랐을뿐 아니라 인건비, 물류비, 전기·가스 요금 인상 등 제반 경비가 상승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30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새해 '가격인상 러쉬'는 음료부터 시작됐다. LG생활건강은 이달 1일부터 코카콜라 350mL 캔 제품의 편의점 가격을 1천900원에서 2천원으로 5.3% 올렸고 몬스터 에너지(355mL 캔) 가격도 2천200원에서 2천300원으로 4.5% 인상했다. 롯데칠성음료는 펩시콜라의 355mL 캔 제품 가격을 1천700원에서 1천900원으로 11.8% 올렸다.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업체들은 연달아 가격 인상 계획을 발표했다. 25일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 출고가를 내달부터 평균 9.8% 올린다고 발표했고 웅진식품도 음료 20여 종의 가격을 내달부터 평균 7% 인상한다고 밝혔다. 빙그레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20%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빙그레의 대표 아이스크림인 메로나 가격은 일반 소매점 기준으로 1천원에서 1천200원으로 오른다. 메로나 가격은 지난해 2월까지는 800원이었는데 내달 2월에는 1천200원으로 1년새 1.5배로 오르는 셈이다. 27일 롯데제과 역시 빙과류와 제과류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내달 1일부터 순차적으로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빙과류 중에서는 소매점 가격 기준으로 스크류바, 죠스바가 500원에서 600원으로 인상되고 월드콘, 찰떡아이스, 설레임은 1천원에서 1천200원으로 오른다. 제과류 중 마가렛트는 3천원에서 3천300원으로 오르고 초코빼빼로와 꼬깔콘은 각각 1천500원에서 1천700원으로 인상된다. 같은 날 해태제과 역시 합작사에서 생
한국을 대표하는 재벌 총수일가도 영끌족 심정을 이해할까. 삼성그룹 오너가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사진 왼쪽부터)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주식 담보대출로 1조8240억원의 차입금을 조달했다. 보유한 삼성전자·삼성물산 상당수를 증권사 등에 맡기고 신용대출을 받았다.이들의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해 두 배가량 뜀박질하면서 연 5~6%대까지 치솟았다. 연간 이자비용도 871억원으로 지난해 초와 비교해 300억원가량 불었다. 삼성그룹 오너일가도 치솟는 금리부담이 가볍지 않은 셈이다.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부진 사장은 이달 중순 하나증권·교보증권·현대자증권과 삼성전자·삼성물산 주식 담보대출 계약을 연장했다. 계약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대출금리가 연 3.39~4.5%에서 연 5.65~6%로 뛰었다.이 사장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주식 각각 955만3000주(대출금 3200억원), 465만6000주(3300억원)를 맡기고 총 6500억원을 빌렸다. 지난해 4월 연 2.1~4% 수준인 담보대출 금리가 연 6%까지 치솟으며 이자비용은 두 배가량 불었다. 홍라희 전 관장과 이서현 이사장의 사정도 비슷하다. 홍 전 관장은 삼성전자 주식 2270만5000주를 하나은행 등에 맡기고 8500억원을 빌렸다. 현재 주식담보대출 금리는 연 3.47~5.64% 수준이다. 지난해 4월 금리(연 2.67~2.77%)와 비교해 두 배가량 올랐다. 이서현 이사장도 삼성물산 주식 442만8311주를 하나은행과 한국증권금융 등에 맡기고 3240억원을 빌렸다. 대출 금리는 작년 4월 연 2.77~4%에서 현재 연 3.47~6%로 올랐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주식담보대출이 없다.올 1월 금리 기준으로 삼성그룹 오너가의 이자비용은 연
삼성전자가 네트워크사업부 산하에 신사업전략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이와 함께 통신장비 분야 경쟁사인 에릭슨 출신 임원 2명을 영입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래 먹거리로 키우는 이동통신 사업에 탄력이 붙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신사업전략TF장으로 에릭슨에서 영입한 헨릭 양슨 상무를 임명했다. 또 다른 에릭슨 출신 영입 임원인 조미선 상무에겐 유럽 영업과 신규 사업 발굴 등을 맡겼다. 두 임원은 5세대(5G) 이동통신 인프라 구축을 늘리고 있는 유럽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6G와 오픈랜 등 차세대 통신 기술을 이용한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회장은 지난해 회장 승진 이후 네트워크 사업을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으로 키우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사장단 인사에서 네트워크 사업 성장에 기여한 김우준 DX(디바이스경험) 부문 네트워크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특히 이동통신 분야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회장은 3G 통신이 대중화되고 4G 서비스가 시작된 2011년부터 5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