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서비스업의 생존 전략 '민관 협력'
한국표준협회는 지난 6월 26일부터 7월 3일까지를 제5회 서비스위크로 지정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여는 서비스 르네상스’라는 주제로 서비스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특히 2일 열린 ‘서비스 미래혁신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이 앞으로의 품질 수준 향상에 핵심이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한계 또한 기술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는 AI스피커 등 각종 가전제품에 적용돼 이미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또 챗봇과 블록체인 기반 기술은 금융업을 중심으로 한 비대면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생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반면 그 속도가 워낙 빠른 탓에 승차공유와 같은 서비스에선 제도적 한계 및 기존 산업과의 이해관계로 인해 확장을 제약받기도 한다. 정부에서도 작년부터 신서비스 환경 속에서의 상생방안과 규제체계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 확산에는 무엇보다도 민관의 적절한 협력과 견제가 필요하다. 먼저 민간 중심의 기술 혁신과 비즈니스 사례 발굴을 기존 이해관계자가 적은 부문부터 지원해야 한다. 한국표준협회는 빅데이터·사물인터넷·블록체인·머신러닝 교육을 체계화해 고급 인력이 기업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서비스산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진단·평가·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다음으로는 기술발전 속도에 맞춰 사회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와 플랫폼이 운용돼야 한다. 한국표준협회는 정부와 함께 새로운 기술 환경에 적합한 규제체계와 표준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다. 신서비스의 품질 수준이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도록 ‘KS-eSQI’ 서비스품질측정 모델 적용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제5회 서비스위크를 통해 기업과 정부, 국민이 서비스업의 당면 이슈를 공유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기술발전 속도가 빠를수록 다양한 경제주체의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는 사회적 역량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