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파에 둘러싸여 협약식에 가지 못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연합뉴스
강경파에 둘러싸여 협약식에 가지 못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문이 우여곡절 끝에 도출됐지만 결국 결실을 보지 못했다. 이유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내 소수 강경파가 김명환 위원장의 협약식 참석을 실력으로 저지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9일부터 사흘 연속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반대파를 설득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거취까지 거론하며 1일 합의문에 도장을 찍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 소식을 접한 전국금속노조 비정규직 지회, 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조합원 등 강경파들은 이날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위원장실로 집결했다. 김 위원장의 동선을 가로막는 실력행사에 나섰고, 결국 김 위원장은 협약식 예정시간인 10시30분을 불과 15분 남겨놓고 총리실에 불참을 통보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김 위원장은 건강상태가 악화돼 코피를 쏟으며 강북삼성병원으로 이송됐다.

민주노총 강경파들은 자신의 뜻을 관철하기 위한 물리력 행사도 마다하지 않는다. 2005년 정기 대의원대회 때가 대표적이다. 노사정 대화 복귀 방안을 논의하기로 한 행사장에서는 단상을 점거하고 소화기를 뿌리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주요 공공기관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인 것도 이들이다.

민주노총 내 3대 계파인 국민파, 현장파, 중앙파 가운데 현장파가 강경파로 분류된다. 주로 현장 조직인 단위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활동해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금속노조 공공운수노조 등 산별 조직을 장악한 현장파는 강경 투쟁 노선을 고집하며 사회적 대화에 줄곧 반대하고 있다.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 운동’이라는 의미의 ‘국민파’는 이와 반대로 사회적 대화에 적극적이다. 김명환 위원장은 국민파로 분류된다.

조직의 3분의 1에 불과한 한 계파가 조직 전체를 좌지우지한다는 지적은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나온다. 2018년 기준 노동조합 조직률이 11.8%인 점을 감안하면 그중 절반인 민주노총 내 강경파는 전체 근로자의 2%가 채 안되는 셈이다. 이들이 결국 정부까지 나서서 어렵사리 마련한 노사정 대타협을 가로막았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강경투쟁 일변도의 노동운동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내부에서도 나온다”면서도 “하지만 번번이 소수 강경파의 목소리에 묻히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최종석 전문위원 js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