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자동차 기계 석유화학 섬유 등 국내 핵심 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생존하기 위해서는 100조원이 넘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으로는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 26개 경제 및 업종 단체들은 2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포스트 코로나19 주력 산업별 비전과 과제’ 포럼을 열고 이같이 발표했다. 업종별 단체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전자통신 부문에만 단기적으로 50조원의 유동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23조8000억원)와 기계(15조5000억원), 석유화학(2조4000억원), 섬유(4조6000억원) 등을 더하면 모두 105조30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이들 단체는 정부에 14대 우선 해결 과제도 건의했다. 법인세 인하와 최저임금 속도 조절, 근로시간 단축 부작용 해소, 불필요한 규제 혁신 등이 포함됐다. 이런 내용을 대표로 발표한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다”며 “한국의 성공적인 방역을 기회로 삼아 국내 주력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영상 축사를 통해 “한국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야 하며, 정부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