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두산중공업이 2년 연속 대규모 순손실을 냈다. 최근 2년간 누적 순손실이 1조원을 넘는다. 벼랑 끝에 내몰린 두산중공업은 명예퇴직에 이어 일부 휴업을 검토하고 있다.

탈원전·탈석탄에…두산重, 작년 4952억 순손실
두산중공업은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495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2018년(-7251억원)보다 순손실 규모가 줄어들었지만, 회사의 체력을 감안하면 버티기 힘든 규모라는 지적이 나온다. 2년간 누적 순손실 규모는 1조2203억원에 달한다. 매출도 2018년 4조1017억원에서 지난해 3조7086억원으로 9.6% 줄었다. 영업이익은 1846억원에서 877억원으로 52.5% 급감했다.

두산중공업은 매출의 60~70%를 차지하는 석탄 화력발전 시장이 침체하는 가운데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프로젝트 수주까지 급감하면서 실적이 악화됐다. 그나마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등 자회사가 좋은 실적을 내 연결기준 손실 규모가 줄었지만, 본업은 고사 상태라는 분석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2600여 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지난 11일 유휴인력 일부에 대한 휴업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정연인 두산중공업 사장은 10일 노조에 보낸 협의 요청서에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됐던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10조원 규모의 수주 물량이 증발하며 경영 위기가 가속화했다”고 했다. 이어 “최근 당기순손실 규모를 감안할 때 영업활동만으로는 금융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하지만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은 회사의 휴업 협의 요청을 거부하면서 오너가의 사재 출연, 사내유보금 사용, 지주회사 지원 등을 통해 경영난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노사 갈등이 우려된다.

두산그룹 핵심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두산그룹 신용도도 떨어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1월 두산의 신용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그 이유 중 하나로 실적과 재무상태가 악화된 두산중공업에 대한 지원 부담을 꼽았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