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5개 출자수협 지분 등 이견 탓에 난항
시는 실무협의 등 속도전, 수산업계는 "이해관계 조정 쉽지 않아"
57년 역사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올해는 결론 낼까?
57년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최대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부산시는 지난해 4월 어시장 공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연내에 어시장 5개 출자수협 지분을 인수해 직접 관리·운영하는 도매시장으로 전환한 뒤 어시장 현대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었다.

시 예상과 달리 지분 인수 작업부터 진척이 안 돼 이해관계 당사자 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새해를 맞았다.

57년 역사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올해는 결론 낼까?
◇ 하루 최대 위판량 3천200t 부산공동어시장
부산공동어시장은 1963년 11월 '부산종합어시장'으로 개장해 1971년 1월 20일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

총면적은 4만3천134㎡, 하루 최대 위판량은 3천200t이다.

부산에 기반을 둔 5개 수협이 같은 비율로 출자해 운영하는 형태다.

이들 5개 수협은 부산시수협, 경남정치망수협, 대형선망수협,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서남구기선저인망수협이다.

직원이 70여명인 어시장은 개장 이후 반세기가 넘는 기간 국내 수산물 위판의 약 30%를 책임지는 산지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1973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이후 수산물 유통시스템 등 시설 개선을 제대로 하지 않아 이용하는 데 불편을 초래해 왔다.

부산시는 2016년 10월 기획재정부로부터 어시장 현대화 사업비 1천729억원을 확보했다.

시는 기본 및 실시 설계를 마무리하고 올해 공사에 들어가 2022년 사업 완공을 계획했으나 2018년 11월부터 진척이 없다.

사업비 중 어시장이 마련해야 할 170억원가량 자부담(10%) 비용 마련과 대체 위판시설 부족 등이 발목을 잡았다.

57년 역사 부산공동어시장 공영화…올해는 결론 낼까?
◇ 공영화 추진 배경과 전망
시는 현대화사업이 마무리되면 자갈치시장에서 송도 해안까지 수산식품 클러스터의 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2년 넘게 진전이 없는 가운데 공영화 계획이 나왔다.

출자 수협 지분 인수와 어시장 법인 청산에 이어 시 산하 별도 공공 출자법인을 설립한 뒤 시가 어시장을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어시장 정관에 따르면 출자 5개 수협 중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면 법인 청산을 의결할 수 있다.

초기에는 대다수 출자수협이 동의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우려대로 지분 인수는 말처럼 쉽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어시장 별관 회의실에서 어시장 자산평가 금액을 정하고 청산을 협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으나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

어시장 법인 청산 이후 설립되는 공공출자법인에 참여할 수협 지분 등을 두고 시와 조합장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시와 어시장 공동법인이 합의한 어시장 자산평가 금액은 1천207억원이다.

문제는 조합별 지분율이었다.

어시장 자산평가 금액에 어시장 현대화 사업 예산 1천729억원을 포함해 자본금을 적용하면 조합 지분은 현재 20%에서 8.7%로 절반 이상 줄어든다.

지분율 감소는 수십년간 이어져 온 어시장에 대한 조합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시는 실무협의를 좀 더 진행한 뒤에 다음 회의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지역 수산업계에서는 양측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