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메트라이프생명)
(사진=메트라이프생명)
한국 가계 자산은 원화자산 일변도의 자산구성에 머물러 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부동산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트라이프생명은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수도권 가계의 자산배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 가계의 원화자산 편중도는 부동산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외화자산 보유자는 13.3%(133명)에 불과했으며 이들의 외화자산 비중도 평균 9.6% 수준에 그쳤다.

다만 금융이해력, 소득 및 보유자산액이 높을수록 외화 금융자산 보유가 두드러져 위기 발생 시를 대비한 위험분산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편중도 여전했다. 응답자가 보유한 금융자산 대 비금융자산 비율은 평균 20대80으로 나타나 여전히 저유동성의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가계 자산에서 금융자산 비중이 훨씬 큰 미국(70대30)이나 일본(64대36)과 비교하면 현격한 차이다. 다만 젊은 연령대일수록 부동산 편중성은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원화자산 및 부동산에 대한 쏠림 현상이 심각한 자산배분 구조는 외부충격에 매우 취약해 부동산 시장의 장기 침체 및 장기 저성장이 현실화될 경우 보유자산 가치가 크게 하락할 우려가 있다.

현재 외화 금융자산을 갖고 있지 않은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여유자금 부족'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51.8%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 부족'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33.8%나 됐다. 매달 소액으로 적립해 갈 수 있는 외화 금융상품이 있을 경우 희망하는 월 납입액과 목표 기간은 각각 29.1만원과 4.7년으로 조사됐다.

송영록 메트라이프생명 사장은 "금융자산 및 외화자산을 고려한 자산배분은 더 이상 부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가계의 자산관리 필수 지침이 되어야 한다"며 "은퇴 이후를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산분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