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안정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통화 완화정책 기조가 상당기간 이어지면서 경기회복력을 높여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오히려 투자·소비를 진작하기 어려운 유동성 함정이 걱정되지만 현재 통화증가율이 과도한 상황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5일 글로벌 통화완화 기조를 '재정정책과의 공조를 통한 반등 준비의 과정'이라 평가하면서 경기회복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 연구원은 "IMF와 OECD는 글로벌 경제성장률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전망 수준은 최근 10년새 가장 낮은 수준"이라며 "글로벌 밸류체인의 붕괴에 따른 성장성 저하에 대한 우려도 높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경제성장세의 둔화를 방어하고 침체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결국 정책적 대응. 전통적인 경제정책인 재정과 통화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주요국의 올해 성장률을 분석할 경우 정부지출이 GDP 성장률에 기여하는 부분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물가안정과 경기부양에 목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주요 선진국의 물가수준은 그들이 목표로 하고 있는 물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라며 "완화적 정책기조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다만 화폐 유통 속도의 감소는 통화량을 이용한 정책의 실효성이 낮아진 유동성 함정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 정 연구원은 "시중에 돈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그 경제는 결국 금리하락에 변화가 없는 유동성 함정에 유입되는 것"이라며 "유동성 함정이 걱정되는 상황이지만 현재 통화 증가율이 과도한 상황은 아니다. 재정 정책과의 공조를 통한 반등 준비의 과정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