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가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 및 펀드(DLS·DLF) 암초에 걸렸다. 아직 금융당국이 결론을 내린 상황은 아니지만 중징계가 내려지면 인수합병(M&A)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사태가 주가 하락으로 번지면 향후 잔여 지분 매각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19일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 국채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만든 DLF의 만기가 돌아왔다. DLF는 16일 금리를 기준으로 수익률이 결정돼 사실상 60.1%의 손실이 확정됐다. 131억원으로 손실액은 78억7000만원 수준이다. 남은 DLF는 11월까지 순차적으로 만기를 맞는다. 독일 국채 금리가 큰 폭 반등하지 않는 한 손실은 불가피하다.

금융당국이 DLF 사태를 들여다보고 있어 향후 어떤 전망이 날지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지만 부정적으로 결론이 난다면 우리금융지주가 지주 체제 공고화를 위해 진행하려고 했던 인수합병 등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통상 우리은행만 중징계를 받게 된다면 직접 인수합병에 나서는 우리금융지주는 대주주 적격성 심사 등에서 불이익이 없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하지만 금융지주 설립을 전후로 DLF가 판매된 만큼(독일 국채 금리 상품은 지주 설립 이후, 英美 CMS 금리 상품은 설립 이전) 금융지주가 이번 사태와 연관이 있는지를 예의주시하겠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아직 조사 중인 사안이라 어떤 식으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확답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이번 사태가 우리은행 만의 문제인지, 금융지주와도 연관이 있는지, 지주 설립 이전에 판매한 상품이라도 현 시점까지 시계열을 넓혀 문제가 있는지 등을 볼 것"이라고 했다.

DLF 사태가 주가에 악영향을 주면 예금보험공사가 추진하려고 하는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예보의 잔여 지분 매각을 내년부터 시작해 2022년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안을 내놨다. 3년간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 매각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희망수량 경쟁 입찰을 통해 지분을 매각한다.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매각 진행 시점의 우리금융지주 현재가가 기준 가격이 되지 않겠느냐"며 'DLF 사태로 주가가 하락한다면 입찰 기준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잔여 지분을 빠르게 매각하겠다는 방안을 내놨지만 공적자금을 회수한다는 측면에서 기준가가 낮아지면 예보 입장에서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매각물량, 시기, 최저가 등 세부 매각 조건은 매각이 진행되는 시점에 정해진다는 게 공자위 측 설명이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