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을 찾은 구직자가 권기홍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왼쪽 첫 번째)과 김현석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장(사장·세 번째)이 지켜보는 가운데 면접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작년 11월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을 찾은 구직자가 권기홍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왼쪽 첫 번째)과 김현석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장(사장·세 번째)이 지켜보는 가운데 면접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국내 협력사의 종합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기술과 인력, 자금을 지원해 지속가능한 상생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협력사 발전이 곧 삼성전자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철학 아래 동반성장의 온기가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협력사로 확산되도록 앞장서고 있다.

협력사 자금 지원

삼성전자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의 도우미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2005년 국내 최초로 거래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2011년부터는 대금지급 횟수를 월 2회에서 4회로 늘렸다.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고 명절 때마다 구매 대금을 조기에 지급해 협력사들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다양한 금융 지원 시스템도 확립했다. 2010년 1조원 규모로 조성한 상생펀드가 대표적이다. 자금이 필요한 협력회사에 최대 90억원까지 저리로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기술개발이나 설비투자에 필요한 자금이나 운전자금 등이 지원 대상이다. 2010년 10월엔 4000억원 규모의 3차 협력사 전용 상생펀드를 추가로 조성해 지원 범위를 3차 협력사로까지 넓혔다. 지난해 상생펀드를 통해 400여 개 협력사에 8300여억원을 지원했다.

2차 협력업체들은 물대지원펀드를 이용할 수 있다. 2017년 5000억원 규모로 조성됐다. 1차 협력사에 최대 2년간 무이자 대출을 지원하면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 30일 이내 납품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3000억원을 추가 조성해 3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로부터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빨리 받을 수 있는 체계를 확립했다.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인재 육성도 지원한다. 2013년 경기 수원에 협력회사의 교육을 전담하는 ‘상생협력아카데미 교육센터’를 세웠다. 협력사 임직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500여 개의 협력사가 맞춤형 온·오프라인 교육 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곳이다. 삼성전자 임직원에게 제공되는 교육 콘텐츠를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

삼성 협력사들은 이곳을 통해 신입사원 입문 교육과 승진 교육 등을 받고 있다. 이수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13년 7000여 명이었던 교육생이 지난해 2만3000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삼성은 협력사의 채용도 돕는다. 삼성전자 상생협력아카데미 청년일자리센터는 매년 ‘삼성 협력회사 채용한마당’을 열어 협력사와 구직자 간 만남의 장을 제공한다. 지난해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의 120여 개 1·2차 협력사가 참여했다. 협력사에 새로 들어간 사원들은 삼성전자 신입사원 교육에 준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협력사와 특허 공유

삼성전자는 컨설팅 별동대도 조직했다. 해당 전문 분야에서 20년 이상 경력이 있는 부장 이상급 임직원 100여 명으로 구성된 ‘상생컨설팅팀’이다. 이곳을 통해 협력회사별로 취약한 분야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을 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해외에 동반 진출한 협력사의 글로벌 제조 경쟁력으로까지 컨설팅 범위를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보유 특허 2만7000여 건을 개방했다. 특허 활용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특허 공유를 신청하면 삼성전자의 특허 전문가와 계약 조건을 협의한 뒤 특허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까지 900여 건의 국내 등록 특허를 중소·벤처기업에 무상으로 제공했다. 총 400여 개 기업이 이 혜택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도 돕고 있다. 협력사뿐 아니라 삼성과 거래가 없는 중소·중견기업도 지원 대상이다. 지방 노후 산업단지에 있는 기업이나 장애인·여성 고용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2년까지 5년간 매년 100억원씩 총 1000억원을 출연해 2500여 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지원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환경안전 관리를 지원하는 별도 조직도 구성했다. 위험한 화학물질을 위험도가 낮은 물질로 대체하는 형태로 작업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다. 연 1회 이상 협력사 대표와 환경안전 담당 직원들을 대상으로 안전 교육을 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협력사로 지원 범위를 넓혀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