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가정아동, 현재 삶에 실망·미래 삶 기대 낮아…삶의 질 개선 정책필요"
보건사회연구원 '2018년 아동 종합실태조사' 보고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평균 행복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됐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는 여전히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에 의뢰해 조사한 '2018년 아동 종합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9∼17세 아동 청소년의 행복 정도를 조사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아졌지만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낮았다.

정부는 아동복지법에 따라 5년마다 아동복지정책 수립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아동 종합 실태조사를 한다.

지금까지 2008년과 2013년, 2018년 등 세 차례에 걸쳐 조사했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 수준 개선 불구 여전히 OECD 최하위"
2018년 조사에서 9∼17세 아동과 중고등 학생 2천219명을 대상으로 10점 만점(최하 0점∼최고 10점) 척도로 개인의 행복도 점수를 측정해 보니, 평균 점수는 6.57점으로 2013년 조사 때보다 소폭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9∼11세는 6.80점, 12∼17세는 6.45점이었다.

아동 청소년의 행복도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았고, 가구 형태별로는 한부모 가정이나 조손가정이 양부모 가정보다 낮게 나타났다.

건강·성취·관계·안전·동네(지역)·생활 수준·미래 안정성 등 삶에 중요한 7개 영역의 만족도(10점 만점)를 확인해보니, 건강·성취·관계·안전·동네(지역) 만족도는 평균 7점에 가깝거나 넘어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현재 생활 수준과 미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6.48점과 6.71점에 그쳤다.

특히 이들 2개 영역에서 빈곤 가정 아동과 비(非) 빈곤가정 아동 간 점수 격차가 컸다.

빈곤 가정 아동이 현재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는 4.78점에 불과해 비빈곤 가정 아동(6.58점)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빈곤 가정 아동의 미래 안정성 만족도 점수는 5.95점으로 유일하게 5점대를 기록했다.

빈곤 가정 아동들이 현재의 삶에 실망할 뿐 아니라 미래의 삶에 대해서도 기대가 높지 않다는 뜻이다.

2018년 조사한 우리나라 아동·청소년(11세, 13세, 15세)의 행복도를 '2015년 OECD 웰빙지수'에서 측정한 27개 회원국 아동들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아동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6.62점으로 최하위였다.

한국 외 OECD 27개국의 평균 점수(7.6점)보다 무려 1점이나 낮았다.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도는 아직 OECD 국가들의 평균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셈이다.

터키가 6.63점으로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나왔고, 스웨덴 8.1점, 네덜란드·아이슬란드 8.0점, 핀란드 7.8점 등으로 상위권이었다.

보사연은 "빈곤 아동은 현재 생활뿐 아니라 학교생활, 개인 관계, 미래 안정성 등 삶의 많은 부분에서 만족도가 낮은데, 이런 문제는 사회적 차별 및 기회 박탈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들 취약집단 아동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적극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 수준 개선 불구 여전히 OECD 최하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