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더욱 악화됐다. 올해 두 차례의 보험료 인상에도 손실 증가를 막지 못해 손보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5대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4.7~87%로 전년 동기의 77.5~82.8%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보험사에 납입된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이다. 손해율 87%는 1억원의 보험료가 들어왔을 때 8700만원이 보험료로 지급됐다는 의미다.

각 사별로 살펴보면 삼성화재가 87%로 가장 높았고 이어 KB손해보험(86.8%), DB손해보험(86.6%), 현대해상(86.4%), 메리츠화재(84.7%) 순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손해율 상승폭은 메리츠화재가 7.2%포인트로 가장 컸다. 현대해상 6.4%포인트, 삼성화재 6%포인트, DB손보와 KB손보가 각각 4%포인트로 나타났다.

손보사들은 이같은 손해율 악화 원인으로 충분하지 못한 보험료 인상을 꼽았다. 올 1월과 6월에 각각 3%와 1.5% 수준으로 보험료 인상을 단행했으나 수익 악화를 온전히 보전하기는 어려웠다는 것이다.

손보사 관계자는 "원가 상승 요인만큼 보험료 인상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손해율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보험료 인상의 근거는 있지만 금융당국의 눈치를 보느라 실제 보험료 인상을 단행하기에는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차량 정비수가와 부품비 인상, 육체노동자 취업가능 연한 확대 등의 요인을 보험료 인상을 통해 상쇄하지 못한 것이다. 자동차 사고 피해자의 보험금 산정에 있어 기준이 되는 취업가능 연한은 지난 5월부터 기존 60세에서 65세로 확대됐다.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은 77~78%로 여겨진다. 마케팅비와 관리비 등으로 보험료의 20% 안팎을 쓰기 때문에 손해율이 80%를 넘어서면 적자가 난다.

손보사들은 손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추가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자동차보험은 의무보험이고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에 포함돼 금융당국으로부터 간접적인 가격 통제를 받기 때문이다.

한 해 동안 세 번의 보험료 인상은 보험사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이에 사업비 절감이나 보험사기 예방 등의 방법으로 손해율 조절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보험료 인상 없이 손해율을 낮추기는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보험금 원가 상승요인이 자동차 보험료에 적시에 반영되지 못하면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악화와 소비자와의 갈등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승도 보험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자동차보험 수리에 관련된 이해 당사자의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부품비 등 미비한 점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더불어 보험사들이 손해율에 따라 보험료를 자유롭게 결정하고, 새로운 상품을 통해 경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