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투자조건 이견 탓
기존 투자자 2~3곳도 철회 가능성
노·사·민·정 협의회도 잠정 연기
‘광주형 일자리’ 사업 투자자 중 한 곳인 광주상공회의소가 발을 빼기로 했다. 사업을 주도하는 광주광역시와 투자 조건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인 끝에 투자 철회를 선언했다. ‘반값 연봉의 완성차 공장’을 세우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잇따른 잡음으로 삐걱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18일 “당초 5년 내 원금 회수 및 우선 배당 등의 조건 아래 30억원을 넣는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광주시와 이견이 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광주시가 경영 성과를 함께 책임지는 전략적 투자자(SI) 참여를 원했지만 상공회의소법상 경영 참여를 전제로 한 지분 투자가 어려워 결국 참여를 철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광주상의 외에 추가 이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투자자 중 2~3곳이 사업 참여를 재검토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시는 당초 지난 7월 합작법인 설립을 끝내려고 했지만 투자자별 내부 의사결정이 늦어지고 배당금 문제로 이견이 커지면서 계속 미뤄졌다. 지난 12일 광주시청에서 열기로 한 노·사·민·정 협의회도 잠정 연기된 상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엔 광주시(지분율 21%)와 현대자동차(19%) 외에 호원 등 14개 자동차 부품사를 합쳐 총 32곳의 투자자가 참여하기로 6월 확정됐다. 합작법인의 총 자본은 5754억원으로, 이 중 자기자본은 2300억원이다.
광주시는 잇따른 ‘잡음’에도 불구하고 이달 안에 합작법인 설립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오는 21일 발기인 총회를 거쳐 이달 안에 투자금 납입을 끝내고 합작법인 설립을 완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근로자 임금을 낮추는 대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택 교육 의료 등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광주시가 조성 중인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완성차 공장(면적 62만8000㎡)을 짓고 이 공장을 경영할 신설 합작법인에 현대차가 위탁생산 물량을 맡기는 게 핵심이다. 연간 10만 대 규모로 1000㏄ 미만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생산한다. 2021년 하반기 가동이 목표다.
-레트로 컨셉트로 10월13일까지 운영 현대자동차가 전주 한옥마을에 브랜드 헤리티지를 담은 1980년대 말 영화관 콘셉트의 팝업 스토어 '현대극장'을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3층 규모의 현대극장은 소비자와 함께 지난 시간을 추억하면서 새로운 즐거움을 공유하고자 마련된 공간으로, 최근 유행하는 레트로 콘셉트에 맞춰 공간 전체를 80년대 후반의 영화관 분위기로 꾸몄다. 현대극장을 통해 클래식카 전시뿐 아니라 다양한 볼거리와 이색 체험 콘텐츠를 마련함으로써 4050에게는 향수를, 2030에게는 색다른 브랜드 체험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야외에 조성된 80년대 풍의 택시 승강장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 차종인 포니를 전시하며, 실내 1층에는 국내 최장수 자동차 브랜드인 쏘나타의 1세대, 2세대와 올해 출시한 신형 쏘나타(8세대)를 함께 소개해 30년 넘게 이어온 국내 대표 중형 세단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준다. 2층은 '투캅스', '로보트태권 V' 등 추억의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영화관으로 구성했으며, 특히 3층에는 젊은 세대에게 크게 유행하고 있는 '방탈출 게임'을 무료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시간여행 콘셉트로 기획된 현대극장 방탈출 게임은 예약제로 운영되며, 현대극장 홈페이지에서 일정을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다. 또 방문객에게 복고 의상을 대여해주고 사진을 촬영해주는 기념사진 촬영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옥마을 내 위치한 현대극장은 오는 10월13일까지약 두 달간 운영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브랜드 헤리티지를 모든 세대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표현한 현대극장이 전주 한옥마을을 방문한 관광객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드릴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이색 브랜드 체험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와 소통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국회 수소경제포럼, 수소경제 정책토론회 연다▶ 쉐보레 신형 콜벳 미국 가격 공개, 7,300만원부터▶ FMK, 마세라티X불가리 쇼룸 운영▶ [하이빔]자동차, '공간 vs 이동' 무엇을 살까
19일 투자금 입금 완료…총회 이어 8월 중 법인 설립 마무리'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 절차가 마무리 단계다.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8월 중 합작법인 설립을 목표로 절차를 진행 중이다.6월 투자협약을 맺은 투자자들이 이사회 결정 등 내부 절차를 마무리하고 투자금을 입금하고 있다.투자 조건 협의, 투자자별 내부 절차 지연 등으로 계획보다는 늦은 19일 입금이 모두 완료될 예정이다.입금이 완료되면 곧바로 주주 간 협약을 체결하고 21일 발기인 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다.총회에서는 합작법인 명칭과 대표이사·임원을 선정한다.명칭은 다수의 후보군을 선정하고 시정자문위원회의 조언을 받아 결정한다.합작법인 임원은 최대 출자자인 광주시(21%), 현대자동차(19%), 광주은행(11%)이 파견한 3명(비상근)으로 구성된다.이 가운데 1명을 이용섭 시장이 대표이사로 선정한다.이 시장은 자동차 산업 이해도, 정부와의 가교 구실, 광주형 일자리 정신 구현 등을 두루 살펴 대표이사를 선정할 계획이다.이어 법인 등기를 하고 이달 내 법인 설립 절차를 모두 마무리하게 된다.시는 합작법인을 출범시키고 올해 말 공장 착공, 2021년 완공·양산체제에 들어갈 예정이다.광주시와 현대차를 비롯해 금융기관, 지역 기업 등이 합작법인에 2천300여억원을 투자한다.나머지 자금 3천454억원은 재무적 투자자로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기타 금융권에서 조달할 계획이다.광주형 일자리 자동차 공장 설립사업은 합작법인이 빛그린산단에 연 10만대 규모의 생산라인을 구축해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현대차로부터 위탁받아 생산하고, 정규직 1천여 명을 고용하는 내용이다.광주시 관계자는 "자동차 공장의 초기 경영 안정과 지속성을 위해 조건 없는 투자자를 원했다.투자 협약을 맺은 일부 투자자가 조건을 내걸어 투자자에서 빠졌다"며 "투자금을 채우는 데는 문제가 없고 8월에는 합작법인을 설립해 광주형 일자리가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