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당·주점 등에 '불매운동 불똥' (사진=연합뉴스)
일식당·주점 등에 '불매운동 불똥' (사진=연합뉴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조치가 나온 지난 2일 일식집에서 오찬을 하면서 '사케'를 마셨다는 보도가 나와 야당이 비판하자 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3일 "전국 일식집이 다 망해야 하나"라고 비판했다.

조 전 수석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야당이 점점 더 황당한 언동을 보인다"면서 "전국의 일식집 업주와 종업원들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정치공세"라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이 대표의 '사케 오찬'에 대해 "반일·항일 하더니 이율배반" "분별력이 없다"고 비판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조 전 수석은 "한·일 경제전쟁과 관련하여 한국 정부 비판에 더 주력하려다 보니 (이런 언동을 보인다)"며 "한·일 경제전쟁 중이지만 우리는 한국에 있는 일식집에 갈 수 있다"고 했다. 조 전 수석은 그러면서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원하는 건 전국의 일식집이 다 망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서재헌 민주당 상근부대변인 또한 “이해찬 대표가 주문한 것은 한 것은 국내산 청주다. 청주는 국내 수많은 일본식 음식점에서 ‘잔술’과 ‘도쿠리’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우리 국민들이 명절날 제사상에도 올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국내산 청주를 ‘사케’라는 이름으로 파는 일본식 음식점 자영업자들에 상처를 입히는 경솔한 발언이자, 왜곡된 사실을 확대 재생산하는 악의적 국민 선동에 불과하다”며 “사전에 예약된 식당에 약속대로 방문해 국내산 청주를 주문한 것을 비난하는 논리는 일본식 음식점 운영하는 우리 국민은 다 망하라는 주문밖에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일본 불매운동에 이어 식당도 일본인 출입금지 (사진=연합뉴스)
일본 불매운동에 이어 식당도 일본인 출입금지 (사진=연합뉴스)
정치권에서 촉발된 '사케 vs 국내산 청주' 논란은 국내에 있는 일식당·이자카야 등에도 불매운동 불똥이 옮겨 붙은 현실 속 혼란을 여실히 드러낸다. 조 전 수석이 우려한대로 이들 업장은 일부 일본산 재료를 쓰고 일본 요리를 판매하긴 하지만 이곳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한국인 소상공인이다.

일식 외식업체들이 늘어나는 등 일본 음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케 수입이 5년새 약 52%나 증가했으며 지난 2014년 7740여개였던 일식음식점업체 수는 지난해 1만1714개로 늘었다.

불매운동 움직임 속 일본 맥주, 사케 등도 대표 불매운동 대상 제품이지만 그걸 수입해 판매하는 업장 주인인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막아야 한다는 여권의 목소리가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은 일본에 대한 반감이 높은 만큼이나 우리 일상에 일본산 제품이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돼 있기 때문이다.

일본산은 먹지도 마시지도 말자는 목소리에 일본 맥주 판매는 급감했고, 유니클로와 무인양품 매장에는 손님이 없어 썰렁해 졌다.

하지만 일식집 운영자는 우리 국민이라는 식의 논리라면 다이소 역시 억울할 수 있다. 일본 다이소로부터 일부 지분 투자를 받은 것은 맞지만 현재 전체 매출의 70%는 680여 국내 중소기업이 납품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이소가 불매운동의 타깃이 될 경우 많은 국내 중소기업이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다이소가 고용한 직원만 해도 1만2000여명이 넘는다.

최근 "일본 차를 타는 손님에게는 음식을 팔지 않겠다"는 한 식당 주인의 현수막이 논란이 되자 국민들 사이에서는 '속이 시원하다'는 반응과 '도가 지나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일본 불매운동' 딜레마…유니클로 사지마 vs 일식집은 살려야?
불매운동 이전에 구입한 차량을 구입한 소비자들이 무슨 죄냐는 인식이 팽배해졌고 이어 일본 부품이 들어가지 않은 전자제품이나 휴대폰을 쓰는 사람이 어디있냐는 논리로 이어진다.

우리는 경제보복을 감행한 일본에 대해 반일감정이 높아졌지만 뭘 사지말아야 하며 어딜 가지 말고 어떤걸 먹지 말아야 할지 그야말로 불매운동 딜레마의 늪에 빠졌다.

일본 투자 비율이 어느정도여야 일본 기업이라고 볼 것인가, 일본 제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한국인의 피해는 감수해도 괜찮은 것인가. 그 명확한 기준은 누구도 내리지 못한다.

일본 제품은 사지 말아야 겠는데 일본 제품을 파는 상점을 운영하는 사람은 우리 이웃이라는 점, 다이소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우리 국민이라는 등 회색지대가 너무 많다.

일본 불매운동이 우리나라 국민들의 일자리 혹은 자영업자들의 이해가 맞물려 있다보니 가장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일본 관광 불매운동이 더 힘을 받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일본 불매운동' 딜레마…유니클로 사지마 vs 일식집은 살려야?
한편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에서 일본의 조치가 일방적이고 자의적이라며 '엄중한 우려'를 표했던 한국 입장에 싱가포르와 중국 등 일부 국가들이 동조했다. 하지만 한일 간 물밑 교섭을 위한 압박 수단이 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라 혼란 뿐인 불매운동은 당분간 계속된 전망이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