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LG전자 등 가전업체들이 ‘서비스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다. 긴 더위 전망, 서비스 직원들의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 스마트 가전 판매 증가세가 겹쳐 올여름 ‘서비스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는 이날부터 ‘하절기 현장 비상체제’를 가동했다. 지난 주말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올해 첫 폭염 경보가 발령된 것이 계기가 됐다. 앞으로 가전 수리·점검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체들은 현장 서비스 업무 경험이 있는 사무직 직원들을 고객 응대에 투입할 계획이다. 수리·점검 기사들의 근무시간 조정을 통해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서비스 직원들을 대상으로 ‘현장 출퇴근제’도 시행하고 있다.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지만 가전업체들의 우려는 적지 않다. 올해 서비스 직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면서 주 52시간 근로제 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작년까진 협력사로 지정된 소규모 서비스센터 직원들이 건당 수리비를 받으며 늦은 밤시간에도 수리·점검 서비스를 할 수 있었다. 올여름에는 작년과 달리 시간 외 근무가 쉽지 않다. 서비스 직원 다수가 노동조합에 가입하면서 상급 노조단체의 집단 쟁의에 동참할 가능성도 염두에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이 탑재된 스마트 가전 보급이 늘고 공기청정기 등 이른바 신(新)가전 판매가 급증하면서 서비스 업무가 복잡해진 점도 직원들의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스템에어컨, 벽걸이TV 등 빌트인 가전은 수리·점검 작업이 일반 제품에 비해 훨씬 어려워 시간이 더 걸린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여름철엔 서비스 수요가 폭증하기 때문에 인력 운용에 여유가 없다”며 “자재 조달, 스케줄 관리, 전산 처리 등의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