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24일 발표한 ‘반도체 비전 2030’은 ‘대학-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파운드리(수탁생산)’ 등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를 위한 여러 대책도 포함됐다.

비메모리의 하나인 시스템 반도체는 연산과 추론 등 정보를 처리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몇 개 제품으로 정형화된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8000종이 넘는 다양한 제품이 있다. 이런 시장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 기업과 기업 간 인력 교류가 자유롭고 창업이 활발한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 인텔, 애플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과 스탠퍼드대 등이 한데 모여 있는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대표적인 사례다.

삼성전자는 이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전 단계로 내부의 반도체 기술과 지식 인프라를 외부에 대폭 공개하기로 했다. 국내 중소 팹리스들이 삼성전자가 보유한 설계자산(IP)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설계 불량 분석 툴과 소프트웨어 등을 지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갖춘 기업들이 혁신 제품과 기술을 개발하고 회사 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최첨단 파운드리 서비스를 중소 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문호도 넓히기로 했다. 한 장의 웨이퍼에서 여러 종류의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MPW 서비스를 최첨단 미세공정인 5나노 공정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의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투자는 설계, 디자인, 장비, 소재, 패키징, 테스트 등 국내 반도체업계 전·후방산업의 일감을 늘리는 효과도 있다. 현재 모바일과 가전 중심인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자동차,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성장성도 높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는 특히 연관 산업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큰 파운드리 사업에 설비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계획한 총 60조원의 설비투자 중 58조원을 파운드리에 투자하기로 했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