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너럴모터스(GM)에 이어 폭스바겐, 포드 등 주요 글로벌 자동차업체가 앞다퉈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세계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미래 자동차 경쟁에 ‘올인’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포문을 연 회사는 GM이다. 지난해 말 국내외 공장 7곳의 문을 닫고 직원 1만4000명을 내보내는 구조조정 방안을 내놨다. 구조조정은 이미 실행 중이다. GM은 지난 6일 미국 오하이오주 조립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나머지 공장은 내년 초까지 순차적으로 폐쇄한다.

폭스바겐·포드도 선제적 구조조정에 합류
폭스바겐도 구조조정 대열에 합류했다. 이 회사는 2023년까지 관리직 7000명을 줄여 59억유로(약 7조5600억원)를 절감하기로 했다. 독일 내 인력의 6% 규모다. 대신 전기차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인력 2000명을 새로 뽑기로 했다. 포드도 독일에서 인력 5000명을 감축할 계획이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놓고 혼란에 빠진 영국에서도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 내 15개 공장에 있는 인력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갈 방침이다.

일본 닛산자동차(1700명)와 영국 재규어랜드로버(4500명) 등 다른 자동차업체도 일찌감치 구조조정에 가세했다.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전체 임직원 4만5000명 가운데 7%인 3000여 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도요타는 55명인 임원 수를 23명으로 줄이고, 상무·부장·차장 등을 ‘간부’ 직급으로 통폐합할 계획이다.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릴레이 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경기 둔화로 자동차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은 지난해 20년 만에 처음으로 판매량이 줄었다. 자동차회사들이 기존 내연기관 기반 차량을 줄이고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관련 연구에 더 많은 인력을 배치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갔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작 구조조정이 가장 필요한 한국은 ‘딴판’이다. 구조조정은커녕 경직된 노동시장과 높은 인건비, 낮은 생산성에 짓눌려 코너에 내몰리고 있다. 국내 자동차업체들은 생산물량 조정조차 노동조합의 동의 없이는 손도 대지 못한다. 한국 자동차업체들이 노조 눈치만 보다가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