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연계 해킹단 사법처리"…'사이버 도둑질'로 전선 확대
반미감정 고조 中 불매운동 확산 양상…'이에는 이' 악순환 우려
中해커적발·美제품불매…'화웨이사태'이후 미중관계 또 먹구름
중국 화웨이 부회장 체포로 고조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 중국은 최근 양국 정상이 무역 전쟁을 '휴전'하기로 한 합의를 무색하게 만들며 무역을 넘어 안보위협, 불공정 관행 논란으로까지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연방 검찰은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해커들에 대한 사법처리를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 검찰은 이들 해킹단이 미국의 기술서비스 제공업체에 침투, 업체가 보유한 고객들의 네트워크에서 영업비밀, 지식재산을 훔치거나 훔치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WSJ은 이 같은 조직적 해킹시도가 중국과 연계된 사이버 공격 사례 가운데 역대 최악이며 미국 당국이 역대 최대의 단속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 신문은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까지도 무더기로 피해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커들이 기술서비스 제공업체에 침투해 그 업체로부터 기술인프라 원격조정, 클라우드 저장 등의 서비스를 받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타깃으로 삼기 때문이다.

중국과 연계된 해킹단을 배후로 지목하는 것은 미국이 오랜 기간 '기술 도둑질'로 부르며 비난해온 중국의 불공정 관행 가운데 굵직한 한 부분이다.

이번 발표가 실제로 이뤄지면 미중 무역전쟁의 전선이 '사이버 절도' 부문으로까지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화웨이 부회장 체포에 이어 '사이버 절도'까지 확대되는 미국의 거센 공세 앞에 중국의 반발도 현실화하고 있다.

9일 홍콩 빈과일보에 따르면 중국 선전(深천<土+川>)의 멍파이(夢派)기술그룹은 사내 지침을 내려 미국 애플의 아이폰을 사는 직원들의 상여금을 깎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중국 화웨이나 ZTE 등의 휴대전화 제품을 사는 직원들에게는 제품 가격의 15%를 보조금으로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회사 제품을 설계할 때는 화웨이가 제조한 반도체를 우선으로 적용하고, 회사 내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나 차량 등은 미국산 제품을 쓰지 않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의 통신장비제조업체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멍완저우(孟晩舟) 부회장이 체포된 데 따른 것이다.

화웨이 창업주인 런정페이(任正非)의 딸인 멍 부회장은 지난 1일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미국 정부의 요청을 받은 캐나다 당국에 의해 체포됐다.

미국은 화웨이를 거대한 안보위협으로 간주하고 미국 시장진입을 차단하는 등 제재를 가하다가 급기야 창업주 가족에 대한 인신구속까지 강행했다.

화웨이를 지지하는 운동은 청두(成都), 후난(湖南), 산시(陝西) 등 중국 전역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반미감정이 높아지면서 미국 기업들도 초조해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스코는 지난 7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불필요한 중국여행을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이 같은 요청은 중국이 멍완저우 부회장 체포에 대한 복수로 미국 기업인을 체포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의 기업인인 제이슨 라이트는 "(중국 정부는) 어떠한 보복 조치라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반독점 조사, 부패 혐의 적용 등 보복할 수 있는 수단은 많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미국 무역대표부(USTR) 중국 담당 대표보를 지낸 제프 문도 경제매체 CNBC에 멍완저우 체포는 중국을 '보복'으로 몰아갈 수 있는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화웨이 사태'를 계기로 미중이 또다시 갈등 양상으로 접어들면서 관세 전쟁 이후 자칫 또다시 '이에는 이'와 같은 악순환이 초래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