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해 3분기 주요 생명보험사들의 지급여력(RBC)비율이 정체기를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보험사들은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에 앞서 RBC비율 높이기에 나서왔지만 최근 금리상승 기조에 따른 채권평가손실이 커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7일 생보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NH농협생명·미래에셋생명 등 주요 5개 생보사의 올 3분기 RBC비율은 249.81%로 전년 동기 대비 1.52% 오르는데 그쳤다.

보험사별로 살펴보면 삼성생명의 RBC비율이 316.60%로 가장 높았으나 전년 동기 대비 13.35%포인트 떨어졌고 미래에셋생명(212.16%)과 NH농협생명(206.70%)은 각각 8.48%포인트, 11.6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교보생명의 RBC비율은 291.99%로 전년 동기 대비 36.36%포인트 올랐고 한화생명은 4.70%포인트 상승한 221.60%를 기록했다.

RBC비율은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보험회사의 자본건정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RBC비율이 100%면 모든 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일시에 지급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금융감독원은 보험사들에게 RBC비율 150% 이상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보험사들은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과 금리 인상에 대비해 후순위채권 또는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 강도 높은 자본확충에 나서고 있다. 2022년 IFRS17 도입 시 보험부채의 평가기준이 원가에서 시가로 바뀌어 가용자본 감소가 예상돼 보험사의 RBC비율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화생명은 올해 4월에 신종자본증권 1조700억원을 발행했고 신한생명은 최대 200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하지만 최근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면서 채권값 하락에 따른 손실 발생으로 자본이 감소하면서 생보사의 RBC비율은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금리 상승에 따른 금리위험 증가와 상품자산의 시세나 가치가 미래에 불리하게 변동함으로써 입게 될 위험을 계량화 한 시장위험 증가가 RBC비율 하락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기존 연 1.50%에서 연 1.75%로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시중금리는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보험사들의 움직임은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미래에셋생명은 최대 2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을 준비 중이며 교보생명은 최대 10억달러 규모의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했으나 금리 상승 여파로 잠정 보류하고 시장 상황을 고려해 재개할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IFRS17 도입이 2022년으로 1년 연기됐음에도 불구하고 RBC비율 관리를 위한 자본확충은 계속 필요하다"며 "향후 RBC비율 취약이 예상되는 일부 보험사는 자본확충 및 위기상황분석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