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부문 대책서 제외돼 경유차 수요 급변하지는 않을 듯
경유 트럭, 수요 억제한다지만 대체재 마땅치 않아 한계


정부가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하나로 경유(디젤)차를 감축하기로 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다만 시한이 2030년까지이고, 디젤차의 전면적 '퇴출'은 공공 부문에 국한되기 때문에 당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자동차업계는 보고 있다.

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강화대책에서 공공 부문에 대해 2030년까지 경유차를 '제로(0)화'하고 소상공인의 노후 경유 트럭 폐차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주차료·혼잡통행료 감면 등 예전에 경유차를 저공해차로 인정하면서 주던 인센티브도 폐지하기로 했다.

대책의 취지를 보면 전체적으로 노후 경유차를 퇴출하고, 신규 경유차를 억제하자는 쪽이다.

자동차업계는 승용차의 경우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또 다른 내연기관차인 휘발유차는 물론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친환경차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이미 2015년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나 올여름 터진 BMW의 엔진 화재사고 등으로 국내에서 디젤 승용차 수요가 상당 부분 대체 차종으로 옮겨간 상황이다.

다만 쌍용자동차의 경우 현재 생산 차종 전체가 디젤차라는 점에서 타격이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쌍용차가 공공 부문에 공급하는 차는 고속도로 순찰차 등으로 물량이 많지 않고, 이를 제외한 민간용 디젤 승용차에 대한 규제는 이번 대책에 담기지 않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시각이 더 많다.

쌍용차 관계자는 "당장 디젤차 판매가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쌍용차는 또 내년에 휘발유차를, 2020년에는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라인업이 다양해지면서 대체 차종도 풍부해지는 것이다.

문제는 트럭 등 상용차 부문이다.

디젤차의 대체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유류세나 차량 구매보조금 등 다른 사회정책적 요소에서 기인하는 문제다.

일례로 현대차의 경우 수소전기 트럭을 개발하고 올해 9월 스위스의 수소에너지기업 'H2에너지'와 내년부터 5년간 수소전기 트럭 1천 대를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시간은 걸리겠지만 휘발유 트럭이나 전기차 트럭도 개발이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며 "관건은 그런 트럭을 개발했을 때 수요가 있겠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화물차 운전자나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영업을 위해 디젤 트럭을 사는 것은 유류세 체계상 경유가 휘발유보다 싸기 때문이다.

여기에 연료 특성상 경유는 휘발유보다 연비가 더 높고 힘이 세어 여러모로 트럭에 유리하다.

다만 기술적 제약 탓에 휘발유 트럭을 생산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란 얘기다.

결국 유류세 체계를 손질해 경유와 휘발유의 가격 차이를 없애는 등의 조치 없이는 휘발유 트럭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어렵다고 자동차업계는 보고 있다.

전기트럭이나 수소전기트럭은 휘발유 트럭보다 훨씬 친환경적이란 점에서 더 바람직하다.

하지만 내연기관차보다 가격이 2∼2.5배 이상 비쌀 것으로 추정되는 데다 무엇보다 충전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

큰 폭의 차량 구매 보조금을 지원하고, 충전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확충하지 않는 한 경유 트럭을 전기트럭으로 바꾸도록 유도하긴 어렵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요컨대 디젤 트럭의 감축 문제는 기술적 사안이기보다는 재정 투입이 동반돼야 하는 정책적 선택지인 셈이다.

기술적 장벽도 있다.

화물차나 영업용 트럭은 장거리 운행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전기차의 긴 충전 시간은 보급에 큰 걸림돌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 LPG(액화천연가스) 트럭도 거론되지만 연료 특성상 큰 힘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제약이 크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기아차와 한국GM이 1t 이하의 LPG 트럭을 판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경유차를 억제하겠다고 하지만, 마땅한 대체재가 없다는 점에서 디젤 화물차나 트럭 등을 감축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유차 퇴출은 정유업계에도 타격을 줄 전망이다.

정유업계 역시 디젤차 퇴출이 갑작스러운 정책 기조 변화는 아닌 만큼 어느 정도 준비를 해온 상태지만, 경유 수요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현재 국내 경유 소비량은 휘발유 소비량의 2배가 넘는다.

그런 만큼 이번 정부 결정으로 경유차 수요가 억제된다면 정유사들로서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생산되는 경유를 내수에서 다 소화하지 못하는데 경유차 수요가 줄면 외국으로의 수출량을 늘리는 방안 등을 간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경유차 개발 시도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기술 개발 정도에 따라 경유라도 오염 배출물질 정도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는데, 이번 정책으로 '경유차는 오염물질 주범'이라는 낙인이 생겼다"며 "이런 상황이라면 자동차 회사로서도 경유차 기술 개발의 유인이 떨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