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로 민간소비 제약할 수도…연금 확대·고용 확대로 개선 가능성
지갑 못여는 한국 고령층…평균소비성향 미국의 ⅔수준
한국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이 미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빠르고, 그나마 젊은 시절에 모은 자산도 부동산 등에 몰려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19년 및 중기 경제전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 기준 67.2%다.

이는 미국(104.0%·65세 이상 기준)의 ⅔, 일본(88.6%)의 ¾ 수준이다.

평균소비성향은 수입에서 세금, 보험료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대개 평균소비성향은 소득이 적은 20∼30대에서 높다.

이후 소득이 증가하는 40∼50대에는 낮아졌다가 소득이 준 만큼 씀씀이가 줄지 않는 60대 이상에서 다시 오른다.

미국과 일본의 연령별 평균소비성향 추이는 이런 일반적인 경향과 비슷하다.

미국에선 25∼34세에서 높았던 평균소비성향이 35∼54세에 떨어졌다가 나이가 들수록 상승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일본은 40세 미만에서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상승했다.

한국은 이와 다르다.

4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75.9%로 가장 높았다가 50대가 되면 67.9%로 급격히 꺾이고 60세 이상에서 더 떨어졌다.

60세 이상이 전체 연령대 중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았다.
지갑 못여는 한국 고령층…평균소비성향 미국의 ⅔수준
이는 고령화로 기대 수명은 길어지는데 한국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유달리 빠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령층이 없는 돈을 쪼개 저축을 늘리고 소비지출을 급격하게 줄인다는 것이다.

보통 고령층이 될수록 소득이 줄지만 한국만큼 큰 폭으로 소득이 쪼그라들지 않는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64만5천원으로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411만8천원)의 64.2%에 불과했다.

미국(65세 이상)은 이 비율이 94.5%, 독일(65세 이상)은 88.3%에 달했다.

프랑스(65세 이상)와 룩셈부르크(65세 이상)는 100%를 넘어 오히려 고령층이 처분가능소득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고령층의 자산이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보다 집, 땅 등 실물자산에 몰려 있는 점도 소비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60세 이상 가구의 총자산 가운데 금융자산 비중은 18.8%에 불과하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하는 가운데 평균소비성향이 낮은 고령층이 많아질수록 민간소비 활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다만 예정처는 "중기적으로 기초연금제도 확대 개편으로 고령층 연금소득이 증가하고 고령층 고용이 증가하면서 고령층의 소득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