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 위기 본격화하나' 업계 전체로 우려 확산
"4분기부터 SUV 판매 확대·원가 절감 등으로 극복"


현대자동차가 올해 3분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하면서 시장 기대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미국,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회복이 더딘 가운데 비우호적인 환율 환경과 품질 관련 비용 지출의 영향으로 수익성 방어에 실패했다.

현대차는 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2018년도 3분기 경영 실적 콘퍼런스콜을 열고 매출액 24조4천337억원, 영업이익 2천88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76.0%나 감소한 것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2010년 새로운 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이후 분기 기준으로 최저치다.
외부 악재에 비용부담까지 겹친 현대차…수익성 '비상'
현대차는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비우호적인 외부 경영환경을 꼽았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브라질, 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작년 동기 대비 10∼20%가량 큰 폭으로 내리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품질 활동과 관련한 비용이 약 5천억원 반영되면서 영업비용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품질 활동에는 엔진 관련 신기술인 'KSDS' 개발과 미국에서의 에어백 제어기 리콜, 기존의 엔진 리콜 관련 추가 비용 등이 포함된다.

KSDS는 엔진의 진동을 감지해 이상이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는 신기술로, 내년에 출시되는 현대·기아차 신차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이향 글로벌품질전략사업부 상무는 "고객 편의와 예방안전을 위해 국내외 일부 지역에서 기존에 판매한 차종에도 KSDS를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며 "비록 경영환경이 어려운 가운데 추가 비용이 발생하겠지만 '품질 최우선'이란 방침에 따라 고객 만족도 제고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3분기 누계 기준 글로벌 판매는 336만대로, 연초 발표한 올해 사업계획 467만5천대의 약 72% 수준이다.

자동차업계에서는 3분기 현대차의 성적표가 국내 자동차산업의 위기가 본격화할 것을 예고하는 징후가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부품업계에서는 일부 업체가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거나 해외 시장에서 철수하는 등 위기가 가시화하고 있다.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경영난을 호소하며 정부에 업계에 3조1천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의 실적 악화는 부품업체들의 경영난을 심화시키는 압박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현대자동차그룹은 국내 자동차산업에서 40%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1·2·3차 협력사로 이어지는 방대한 산업생태계에 고용 유발 효과가 크고 반도체와 함께 주요 수출 산업이기도 한 자동차산업의 위기는 곧 국가 경제의 위기로 확산할 수 있다.

현대차는 그러나 4분기부터는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최병철 재경본부장은 콘퍼런스콜에서 "그동안 부진했던 미국에서 코나 신차효과와 신형 싼타페 판매 개시로 판매가 2분기 연속 증가하고, 미국 공장 가동률이 분기 기준 86%에서 92%로 상승하는 등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공장 가동률 역시 한국, 미국의 생산물량이 늘어난 덕분에 작년 대비 3.9%포인트 상승한 96.4%를 기록하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외부 악재에 비용부담까지 겹친 현대차…수익성 '비상'
현대차는 4분기부터 미국,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중심으로 판매를 늘려 판매목표를 달성하고 원가를 절감해 수익성 회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경우 신형 싼타페와 투싼 개조차 출시로 판매 증가세를 유지해나가면서 SUV 중심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내년에 2종 이상의 SUV 신차를 출시할 예정이며, 대형 엔트리 SUV와 제네시스 SUV 모델도 준비 중이다.

아울러 내년부터 3세대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적용해 부품 공용화를 통한 원가 절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장 수요 자체가 감소세인 중국에서는 '라페스타'와 같은 현지 전략형 모델을 늘리고 투싼 개조차, 신형 싼타페 등 신차를 투입해 판매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빠른 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춰 중국 전용 신차개발 일정과 글로벌 모델 투입 일정도 단축한다.

신흥국 판매 전략과 관련, 구자용 IR 담당 상무는 "국가별 위험요소와 시장 특징을 면밀히 분석해 최적의 원가구조를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대응하고 내실을 키우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