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독일 안스바흐에 아디다스가 신발공장을 세웠다. ‘스피드 팩토리’라고 부른다. 1993년 마지막 공장이 문을 닫은 지 23년 만이었다. 연 50만 켤레의 운동화를 생산하는 이 공장 생산 라인에는 10명만 일한다. 기존 생산방식으론 600명이 필요하지만 로봇, 3차원(3D)프린터 등이 인력을 대체했다. 스피드 팩토리는 대기업인 아디다스와 아헨공대 섬유기술연구소, 중소기업 등 20여 곳이 3년 이상 투자한 합작품이다. 이브시몬 글로이 아헨공대 섬유기술연구소 생산기술부장(교수)은 “아디다스 외에도 소프트웨어, 센서, 프레임 제작업체 등 20여 곳이 스피드 팩토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국내에는 이런 모델이 없다. 연구원, 대학, 대기업, 중소기업이 모두 각자의 연구에 몰두하기 때문이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미래 경쟁력이 협업과 네트워크인데 국내 R&D는 나홀로 연구하는 폐쇄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생태계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대기업 따로 中企 따로…相生 없는 '나홀로 R&D'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창의적 공동 연구도 찾아보기 힘들다. 중소기업 R&D는 대기업과 함께하면 가장 효율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대기업은 보유하고 있는 기술 가운데 직접 사업을 할 수 없거나, 중소기업에 필요한 기술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 같은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 부품을 개발하면 대기업이 이를 사주는 사실상 도급 형태이기 때문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R&D 협력사업은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이 대표적이다. 대기업에 필요한 부품을 중소기업이 개발한 뒤 대기업이 매입하는 구조다. 2015년 1386억원(과제 704건)이던 관련 예산이 올해 1438억원(924건)으로 늘었다. 중기부 전체 R&D 예산 1조1000억원의 15% 남짓이다. 50%대인 일반적 R&D 지원 사업에 비해 사업화율(구매율)도 80%대로 높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사업화율이 90%를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 예산도 더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정부 R&D를 총괄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뛰어난 기술을 개발하기보다 당장 필요한 부품 개발이어서 예산 증액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소기업 사장은 “단순히 대기업이 부품을 구매하는 게 아니라 중소기업을 주요 프로젝트에 참여시켜야 한다”며 “R&D 분야에서도 중소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이 대학, 연구기관 등과 함께하는 R&D 프로그램으로 ‘산·학·연 협력 기술개발사업’이 있다. 이 사업의 관건은 대학과 연구기관이 얼마나 중소기업을 도와주느냐다. 과거 단순 위탁기관에 머물렀던 대학과 연구기관을 중소기업이 필요한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게 하기 위해 바우처(특정 목적에만 사용되는 지원금) 제도를 도입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