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태양광 모듈, 휴대폰, 냉장고 생산라인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공정 혁신’에 나섰다. 지난 3년간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LG 인텔리틱스’를 통해서다.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불량품이 발생한 공정 파악 △불량의 근본 원인 확인 △불량 예측 및 방지 조치까지 가능하다. 수십억원의 비용 절감을 이뤄내는 등 구체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최적의 조합을 찾아라

LG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태양광 모듈 생산라인에 LG 인텔리틱스 시스템을 적용했다. 불량률이 획기적으로 낮아졌다. 태양광 모듈을 구매할 때 고객이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얼마나 높은 출력을 내느냐다. 받아들인 빛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고출력 제품이다.

LG의 제조공정 혁신…'불량될 운명'까지 예측
문제는 고출력 모듈을 만들 수 있는 조합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LG전자 클라우드센터 스마트데이터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태양광 모듈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합을 찾기 시작했다. 센서·장비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해 어떤 셀을 어떻게 조합했을 때 모듈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일정한 경향성을 찾아냈다.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품질에 이상이 생겼을 때도 원인을 추적할 수 있게 됐다. 완성될 모듈의 품질을 ‘예측’하는 작업까지 가능해졌다. 조봉수 스마트데이터실장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를 보면 잠재적 범죄자를 검거하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인텔리틱스 시스템의 작동 원리도 이와 똑같다”며 “불량이 될 운명인 태양광 모듈을 찾아냄으로써 불량을 예방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양광 모듈에 대한 예측 오류율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적용하기 전 22%에서 8%까지 떨어졌다. 모듈 출력을 개선하고 불량률을 낮추면서 올해 태양광 생산라인에서 약 5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속도 내는 공정 자동화

LG전자는 이 시스템을 휴대폰과 TV, 냉장고 등의 생산라인에도 확대 적용했다. 휴대폰 무선감도검사 공정은 단말기 상하단의 안테나 송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가성 불량’을 최소화하는 데 데이터를 활용했다. 가성 불량이란 불량이 아닌데도 불량으로 판정하는 경우를 뜻한다. 불필요하게 재검사를 진행하도록 해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비용을 늘린다. 올해는 인텔리틱스 시스템 덕분에 가성 불량 판정을 받는 제품이 줄어들면서 무선감도 검사 불량률이 2.2%에서 1.2%로 낮아졌다.

LG전자는 국내 일부 공장에만 적용하고 있는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전 세계 공장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 사업에도 속도를 내게 됐다. 각 기기를 자동화해야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 실장은 “자동화되지 않은 공정 중 어떤 부분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면 품질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인지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