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일자리 불안 탓…경제 선순환 작동 어렵게 해
'지갑 열기 불안한 현실'… 작년 평균소비성향 13년만에 최저
지난해 국민처분가능소득에서 민간, 정부 부문의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따진 평균소비성향이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내려갔다.

가계소비 부진이 전체 소비 증가세를 짓누르며 평균소비성향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평균소비성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보다도 낮았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보다 5.0% 증가한 1천390조7천998억원, 최종소비지출은 4.7% 늘어난 1천97조5천817억원이었다.

국민처분가능소득 대비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78.9%였다.

소득보다 소비지출 증가세가 둔화하다 보니 이 비율은 전년(79.1%)보다 0.2%포인트 하락하며 2004년(78.1%)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평균소비성향은 1980년대 말 60%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렸다.

2001년 81.9% 이후 2000년대에는 주로 80% 초반대를 맴돌았다.

그러나 2012년 81.6%를 끝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2015년 80.0%에서 2016년 79.1%로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도 더 내려갔다.

평균소비성향이 떨어진 데는 정부보다 민간 탓이 큰 것으로 보인다.

최종소비지출을 민간과 정부로 나눠 보면 민간 소비 증가율은 4.2%로 정부 소비(6.5%)는 물론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5.0%)보다 낮았다.

시계열을 확대해 최근 10년간(2008∼2017년)을 보더라도 민간소비 증가율 평균은 4.3%로 정부 소비(6.2%), 국민처분가능소득(5.0%)을 밑돌았다.

고질적인 민간소비 부진이 평균소비성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

민간소비의 90% 이상은 가계소비라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 평균소비성향을 끌어내린 '진범'은 가계소비 둔화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고령화, 내수·고용 부진 때문에 미래 소득이 불안해지면서 돈을 벌 수 있을 때 쓰지 말고 모아두어야 한다는 가계 심리가 작용한 것이다.

한국의 평균소비성향은 주요국과 견줘도 낮다.

OECD 평균(한국 제외·2015년 기준)은 92.5%로 한국보다 13.6%포인트 높다.

OECD 평균소비성향이 2006∼2015년 2.7%포인트 상승한 것과 달리 한국은 같은 기간 1.4%포인트 뒷걸음질 치며 둔화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비성향 하락은 내수의 한 축인 소비의 힘을 약하게 한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가계가 버는 돈을 소비로 쓰지 않고 모아두면 가계 소득 증가→가계소비 증가→기업 투자·고용 확대→가계 소득 증가라는 선순환도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소득이 생각보다 늘지 않고 경제가 불안해질 것 같다는 생각에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것"이라며 "민간 부문의 고용 창출,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와 같은 감세 조치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