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인 자베즈파트너스와 대주단 간 마찰로 MG손해보험 자본확충이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MG손보의 사실상 최대주주인 ‘자베즈제2호유한회사’를 운용하고 있는 자베즈는 MG손보 자본확충을 위해 재무적투자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자베즈제2호유한회사의 우선주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 뒤 이 자금으로 MG손보 유상증자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현재 최대주주인 자베즈2호유한회사의 MG손보에 대한 지분율 희석 없이 자금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이다. 또 보험사 보유지분이 10%를 넘으면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심사를 받아야 하지만 이런 방식이면 투자자에 대한 적격심사도 필요없다. MG손보는 지난 3월 지급여력(RBC)비율이 83%까지 떨어져 감독당국으로부터 적기 시정조치를 받았다.

자베즈는 최근 미국계 PEF인 올림푸스캐피털, 헤지펀드 성격의 시리우스에쿼티 등과 투자유치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 들어 JC파트너스-오릭스프라이빗에쿼티 컨소시엄, JKL파트너스 등과도 협상을 벌였지만 최종 유치에는 실패했다.

반면 대주단은 자베즈 측에 손을 떼고 자베즈제2호유한회사 주식 매각을 통한 기업 인수합병(M&A)을 요구하고 있다. MG손보 대주단에는 자베즈가 MG손보를 인수할 당시 자베즈제2호유한회사에 대출한 농협은행(400억원)과 새마을금고(300억원), 증권금융(200억원) 등이 속해 있다. 대주단은 지난해 말 자베즈가 기한이익을 상실하면서 채권 행사에 들어가 MG손보 매각을 추진했지만 자베즈의 반대로 중단됐다. 대주단이 MG손보 매각에 성공한다 해도 자베즈가 다른 투자자를 유치해 대출금 900억원을 모두 갚아버리면 M&A 계약 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이다.

대주단이 ‘새 주인 찾기’를 요구하는 건 재무적투자자를 통한 자본확충이 ‘미봉책’에 그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자베즈가 자금유치 방식을 고집하는 건 높은 수수료 수입을 포기할 수 없어서란 분석도 있다. 대주단 관계자는 “자베즈제2호유한회사가 남아 있는 한 자베즈는 주주이자 운용사로서 매년 펀드 관리 수수료 수입을 챙길 수 있다”며 “정확히 공개되진 않았지만 최소 연간 20억원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MG손보 노조도 PEF보다는 오랫동안 경영권을 지니고 투자를 계속할 수 있는 새 주인을 원하고 있다.

MG손보는 자본확충을 서둘러야 할 판이다. 지난달 금융위원회는 오는 9월 말까지 RBC비율을 10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전제로 MG손보 경영 개선안을 조건부 승인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