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상반기 실적은 견조… 원·달러 환율 급등에 해외여행 둔화 우려
국내 항공주 주가는 6월 이후 급락한 채 좀처럼 예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언론을 통해 노출된 악재는 총수일가 비리가 중심이다. 경영진의 문제가 항공사 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처럼 비쳐지기 쉽다. 그러나 주가가 하락했던 가장 큰 원인은 항공업황에 대한 우려, 그리고 근원적으로 원·달러 환율 급등에 있다. 하반기에는 단기 급등한 원·달러 환율이 하향 안정화되면서 항공주 주가 상승을 이끌 전망이다.

지난 6월 중순까지는 항공업황에 대한 시장 분위기가 비교적 낙관적이었다. 국제 유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항공사들의 실적이 악화될 것이라는 걱정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올 2분기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의 국제 유가는 연초 대비 22.3% 상승했다. 2분기 평균 유가는 전년 동기 대비 40.4%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싱가포르 항공유 가격도 연초 대비 11.9%나 상승했다. 그러나 공항통계를 살펴보면 항공기의 빈 좌석은 점점 줄고, 저단가 승객(환승객) 비중은 낮아지고 있었다. 항공업계의 가격 결정력 강화로 항공사들은 항공권 가격을 올리면서 유가 상승분을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만약 항공권 가격을 계속 올릴 수 있다면 유가 상승으로 인한 실적 충격은 단기적 현상에 그칠 수 있는 일이었다.

이런 낙관론에 찬물을 끼얹은 것은 원·달러 환율의 급등이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및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의 영향으로 급등했다. 원화가치가 단기간에 떨어지면서 한국인들의 해외여행 비용이 증가했다. 해외여행객들은 출발일에 훨씬 앞서서 항공권을 예매하기 때문에 당장은 해외여행객 증가속도가 떨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9월 말 즈음이 되면 원화가치 절하 효과가 해외여행 수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국인들의 해외여행 증가율은 원·달러 환율 급등 이전부터 이미 둔화되기 시작했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20%를 넘나들던 내국인들의 1년 전 대비 해외출국자 수 증가율은 6월에는 10%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여행사들은 하반기 해외 송출 예약 상황이 부정적이라고 밝혀왔던 만큼 원화가치 절하는 하반기 업황이 부진할 것이라는 예측에 확신을 불어넣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 경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1% 상승하면 내국인 출국자 수는 0.74% 감소했다.

항공사들의 2분기 실적을 분석해보면 항공업황 둔화는 이미 저비용항공사(LCC)들부터 체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의 경우 국제여객 일드(1㎞당 가격)가 1년 전 대비 3.8% 하락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이 각각 5~7%씩 단가를 높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매출처가 다변화된 대형 항공사보다 한국인들이 매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LCC들이 한국인의 해외여행 증가 속도 둔화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제주항공은 1년 전 대비 좌석공급을 30%가량 늘린 상황이고, 다른 LCC들도 대동소이한 공급 증가를 보이고 있다. 수요 증가 속도가 떨어질 때 좌석이 늘어나면 가격 할인을 많이 할 수밖에 없다. 대형 항공사들은 4% 전후의 공급 증가만이 있었을 뿐이었다.

하반기에는 LCC들의 가격할인이 더 자주 나올 수도 있다. 7월 인천공항 데이터를 살펴보면 LCC들을 중심으로 편당 승객 수 감소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항공기의 빈 좌석이 늘어나면 항공사들은 가격을 낮추기 마련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항공권 가격이 낮아지면 늘어난 유류비용은 항공사 부담으로 고착화된다.

이런 상황을 두고 판단할 때 당분간 항공사들의 주가가 빠르게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은 항공업황 둔화 가능성을 높게 보고 이를 주가에 반영해 놓았다. 이제부터 투자자들은 시간을 두고 하반기 업황이 예상했던 대로 둔화되는가를 체크하려고 할 것이다.

무역전쟁, 터키 리라화 사태, 미국의 금리 인상 등 하반기에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급격히 하락한다면 업황에 대한 걱정이 빠르게 줄어들 수도 있다. KB증권은 올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다시 하락해 4분기 달러당 평균 1085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달러 강세 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6월 말 발표된 유럽의 소비자물가 지표와 미국의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로 경기개선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글로벌 거시경제 지표들이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경기 확장에 대한 전망에 따른 비 달러 통화 선호가 확대돼 달러 강세 추세가 안정화될 수 있다.

환율이 하향 안정화되면 상반기의 양호한 항공업황이 하반기에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환율 전망을 바탕으로 하면 주가 조정이 이뤄진 현시점이 항공주 투자의 적기가 될 수 있다.

seongjin.kang@kbf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