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벤처기업 M&A 촉진·인센티브제 도입"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인수·합병(M&A)을 촉진하고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젊은 인터넷 세대를 아이디어 창출과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미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벤처기업에 대한 기대감은 크지만, 이들 기업은 투자자금과 전문인력 부족, 규제 부담감 등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이 미흡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은 2016년 기준 사물인터넷이 340개(39.4%)로 가장 많고 로봇 194개(22.5%), 가상현실·증강현실 60개(6.9%), 빅데이터 58개(6.7%), 3D프린터 57개(6.6%) 등 순이다.

이들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은 2015년 매출과 고용규모가 각각 40억원과 1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매출 69억원과 고용 23.3명인 일반 벤처기업보다 소규모이며 창업 3년 이하 신생 기업 비중이 상당히 높으면서 수도권에 몰렸다.

다만, 특허 등록 건수는 적었으나 출원 중인 특허 수는 월등히 많아 잠재성은 높았다.

이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기업의 정책 방향과 과제로 8가지를 제시했다.

4차 산업혁명 대상 기업이 많지 않은 만큼 정부 지원 시 적절한 규모와 속도에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며 기업 평가 시 인적 자원의 잠재력 평가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소규모 초기 단계 기업 비중이 높아 역동성과 변동성이 크므로 실패해도 재기 가능한 투자 중심 지원과 개방형 직위를 활용한 전문가 영입 등을 통한 M&A를 촉진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교류와 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제도 도입 등 제도 개선,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차원의 대응력 제고, 젊은 세대의 아이디어와 기술개발 및 정책 디자인 참여 유도 등도 과제로 꼽았다.

이 연구원은 "단기간 정량 성과 측정방식을 지양하고 기반과 토양 조성에 무게를 둬야 하며 혁신경제 체제에 맞는 사회적 자본 확충이 4차 산업혁명시대 구축해야 할 중요 기반 요소"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