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집계…총 4조2601억원으로 전년 대비 18.5% 증가

우리나라 화장품 무역흑자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넘어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7년 화장품 무역흑자는 4조2천60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화장품 무역흑자 규모는 2015년 1조6천973억원에서 2016년 2배가 넘는 3조5천955억원으로 급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8.5% 증가했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흑자로 돌아선 후 6년 연속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작년 화장품 생산실적 규모는 13조5천155억원으로 2016년(13조514억원)보다 3.6% 늘었다.

식약처는 한류 바람을 타고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 동남아, 유럽 등으로 수출지역이 다변화되고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이 결실을 본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5조5천900억원으로 2016년(4조8천491억원) 대비 18.3% 증가했다.

화장품 수입은 2017년 1조3천297억원으로 2016년(1조2천536억원)보다 8.9% 늘었다.

특히 사드 영향에도 중국 수출이 23.1% 증가하는 등 중화권으로 화장품 수출 강세가 이어졌다.

수출 대상 국가별로 중국이 2조1천844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홍콩(1조3천820억원), 미국(5천36억원), 일본(2천548억원) 등의 순이었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전년 대비 각각 96.8%, 60.8% 증가했다.

프랑스 등 선진국에 수출된 실적은 전년보다 26.9% 증가해 우리나라 화장품이 해외에서 기술력과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천670억원)였으며, 이어 미국(3천293억원), 일본(2천61억원), 영국(548억원), 이탈리아(524억원) 등의 순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화장품을 가장 많이 생산한 업체는 아모레퍼시픽(4조898억원, 30.26%)이었다.

엘지생활건강(3조9천672억원, 29.35%), 애경산업(3천998억원, 2.96%), 이니스프리(1천905억원, 1.41%), 코리아나(1천724억원, 1.28%)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7조6천178억원(56.36%)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색조화장용(2조1천417억원, 15.85%), 두발용(1조5천298억원, 11.32%), 인체세정용(1조2천601억원, 9.32%) 등이었다.

지난해 기능성 화장품 생산실적은 4조8천558억원으로 2016년(4조4천439억원) 대비 9.3% 증가했다.

기능성 화장품의 최근 5년간 성장률은 17.9%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