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도중 생각에 잠겨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도중 생각에 잠겨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한국은행이 24일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6년5개월 만에 금리를 올리면서 통화정책의 방향을 튼 뒤 6개월째 유지다. 경기를 둘러싸고 정부 내에서도 이견이 팽팽한 상황에서 한은 역시 경기 호조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금리를 동결했다.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단 한 명의 소수의견도 나오지 않은 만장일치 결정이었다.

韓銀, 만장일치 금리 동결… 이주열 총재 "고용 부진하다" 경고
금통위원들은 산업생산·투자 등 악화한 주요 경제지표를 볼 때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 경기 회복세를 지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주 임지원 금통위원 취임식에서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 앞으로의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언급한 상황이어서 시장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 총재는 금통위 회의 직후 열린 설명회에서 고용에 대한 우려를 거듭 밝혔다. 최근 고용상황을 두고 “부진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지난달 12일 설명회 때 언급한 “회복세가 둔화했다”는 표현보다 더 어두워진 것이다. 우려대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최근 3개월 연속 10만 명대로 정상치인 30만 명대에 크게 못 미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최저임금 인상 영향뿐 아니라 일부 업종의 구조조정, 기저효과 등 여러 요인이 혼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3%인 기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수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가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해 왔고 현 단계에서 봤을 때 성장 흐름은 지난 4월 전망치(3%)를 수정할 상황은 아직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진 게 사실”이라며 “일부 신흥국에서 금융 불안 등 여러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경계를 늦추면 안 된다”고 했다.

이날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3% 경제성장률 목표를 수정할 계획이 없다”며 자신감을 보인 것과는 기류에 약간 차이가 있다.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 시점은 좀 더 지연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시장에선 이달 소수의견이 나오면 이르면 오는 7월 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고 봤다. 하지만 한은의 경기 진단이 좀 더 신중해지면서 10월을 점치는 시각이 많아졌다.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은 금통위 직후 8월 금리 인상설을 철회하기도 했다. 한국의 경제 활동이 둔화해 연내 금리를 인상할 여지가 사라졌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다음달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상태라 현재 0.25%포인트인 한·미 간 금리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