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호조·기저효과·투자증가 덕분에 예상 웃도는 성적
무역전쟁·금리·고용부진은 변수…건설투자도 꺾일 전망
한국경제 1분기 선방했지만…올해 3% 성장률 달성 안갯속
한국 경제가 올해 1분기 성장률 1.1%라는 기대를 웃도는 성적으로 출발했다.

세계 경기 성장세에 힘입어 수출과 설비투자가 '양 날개'가 돼서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그러나 국내 사정은 외견상 숫자만큼 좋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용까지 온기는 미치지 않아 민간소비가 성장세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건설투자도 반짝 효과에 기댄 측면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가능성, 미 금리 인상 가속화 등 대외적으로도 곳곳에 장애물이 있다.

1분기 지표는 '선방'했지만 성장 모멘텀이 2분기부터 약화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올해 3% 성장 달성까지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기저효과에 수출 호조…투자도 지원 사격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8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을 보면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전기 대비 1.1%였다.

분기 성장률은 작년 2분기 0.6%에서 3분기 1.4%로 확대했다가 4분기 -0.2%로 고꾸라졌으나 2분기 만에 1%대를 회복했다.

성장률이 1%대로 오른 데에는 전기 마이너스에 따른 기저효과 덕이 있다.

그러나 기저효과가 전부는 아니다.

경제 흐름도 탄탄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수출과 설비투자가 1분기 성장을 떠받친 '양 날개'였다.

올해 1분기 수출(통관 기준)은 1년 전보다 10.3% 늘었다.

영업일 수가 지난해보다 0.5일 줄었지만 반도체(44.2%), 컴퓨터(62.5%) 제품 호조 덕분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세계 경제 회복세가 지속하며 글로벌 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설비투자는 5.2% 늘어 2016년 4분기(6.5%)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요 증대에 맞춰 주요 정보기술(IT) 업체들이 반도체 관련 설비 확충에 나섰고 항공기, 선박 등에서도 설비가 증설됐다.

올해 둔화할 것이라던 건설투자도 예상을 깨고 2.8% 늘었다.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4.2%) 이후 1년 만에 가장 컸다.

◇ 건설투자 흔들·소비 증가엔 의문부호…앞으로가 험난
한국경제 1분기 선방했지만…올해 3% 성장률 달성 안갯속
그러나 2분기 이후 경기 흐름이 1분기 정도로 유지될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설비투자와 수출은 여전히 호조를 보이겠지만 다른 지표엔 하방 요인이 적지 않다.

건설투자는 1분기가 반짝 상승이라는 평가가 많다.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라 선수촌, 기반시설을 구축하느라 건설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주거용 건물의 경우 2016년 이후 착공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주택 공급 물량 확대 등으로 일부 지역에선 미분양 확대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어 주거용건물 공사 물량은 추가로 하락할 수 있다.

정부가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을 작년보다 14.2% 줄인 점도 도로, 철도 건설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민간소비도 미지근할 것으로 전망된다.

1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작년 1분기(0.5%) 이후 가장 낮은 0.6%였다.

민간소비 증가율 축소는 기저효과 측면이 강하다고 하지만 앞으로가 더 문제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작년 12월부터 이달까지 내리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5개월 연속 하락한 것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8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소비와 깊은 연관이 있는 고용은 깊은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2월 10만4천명, 3월 11만2천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조선업, 자동차 산업 등의 구조조정과 건설업 경기 부진 때문에 취업자 증가는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올해 3% 성장은 정책 약발·세계 경기 회복세 관건
한국경제 1분기 선방했지만…올해 3% 성장률 달성 안갯속
정부와 한은은 올해 3% 성장이 달성 가능하리라고 보고 있다.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글로벌 경기 회복세 지속, 기초연금 인상·아동수당 지급 등의 소득기반 강화 정책의 효과가 정부와 한은 등이 '믿는 구석'이다.

지난해 3.1% 성장한 한국 경제가 올해에도 3%대 성장을 달성하면 2010년(6.5%)∼2011년(3.7%)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3% 이상 성장하게 된다.

반면 현대경제연구원(2.8%), LG경제연구원(2.8%) 등 주요 민간연구소나 한국개발연구원(KDI·2.9%)과 같은 국책연구기관은 그보다 낮은 2%대 후반 전망을 고수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3%대 달성이 무리한 목표는 아니지만 가는 길이 순탄한 것만도 아니라는 목소리가 크다.

미·중 무역분쟁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고 세계 경기 회복세 둔화,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 등은 정책 효과를 낙관하고 있지만 이미 갖은 수단을 동원해도 약발이 듣지 않는 고용 개선세 부진 역시 경제 성장세를 짓누를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3%대 성장 달성 가능성이 있지만 안 될 가능성이 크다"며 "세계 경기가 하반기부터 둔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투자가 성장을 이끄는 힘이 꺾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분쟁이 실제로 벌어지면 수출 둔화, 금융시장 불안이 생기면서 성장 경로를 저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