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불확실성 확대되면 실제로 실업률도 상승
"금융불안 충격, 정책 불확실성 확대보다 최대 10배"
금융시장 변동에서 빚어진 충격은 경제정책 불확실성 때보다 최대 10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불확실성 확대는 실제로 실업률을 높이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BOK경제연구 '불확실성 충격의 경기 국면별 파급효과'보고서에서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실업률 상승, 소비자물가 하락 폭은 경제정책 불확실성 경우보다 최대 10배 정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통화, 재정, 무역, 구조조정 등 향후 경제정책 방향을 경제주체가 예측하기 어려울 때 생기는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서 빚어지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이론상으로 경제 불확실성 확대는 기업 의사결정 지연시키고 가계·기업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용해 소비, 투자, 고용을 위축시킨다.

연구팀이 1991년 1월∼2016년 12월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물가상승률, 실업률 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 확대는 실업률을 높이고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정적 영향은 경기 상승 국면보다 경기 하강 국면에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경제정책 불확실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초래하는 부정적 영향은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견줘 경기 상승 국면에선 5배, 경기 하강 국면에선 10배가량 큰 것으로 분석됐다.

예컨대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코스피 변동성지수(VIX)가 1 표준편차 증가(월평균 5포인트 증가)할 때 경기 하강 국면에선 실업률이 0.02%p(포인트) 올랐다.

반면 같은 크기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확대할 때에는 실업률은 1/10 수준인 0.002%p만 상승했다.

경기 상승 국면에선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때 실업률은 0.009%p,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커질 땐 0.0016%p 각각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소규모 개방경제라는 한국 경제의 특성이 반영된 탓이다.

리먼 브러더스 사태, 미국 주가 하락 등 해외 변수들은 주로 금융시장을 통해 국내로 파급된다.

이 같은 대외 금융시장 변수들은 중요도가 높은 경우가 많아 경제주체들의 불안을 더 크게 키운다.

가계, 기업은 불안이 잠잠해질 때까지 소비, 투자, 고용 결정을 미뤄 실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진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미 오클라호마 주립대 케빈 라처 교수와 김재범 교수, 한은 김영주 연구위원은 "경기가 부진할수록 경제정책,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하지 않도록 더욱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시장 불확실성은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국제금융시장 여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모니터링과 변동성 완화를 위한 정책 대응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