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전희성  기자 lenny80@hankyung.com
그래픽= 전희성 기자 lenny80@hankyung.com
수출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지난해 발표한 ‘산업단지 공장 스마트화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률이 내수기업에 비해 두 배 더 높았다. 산단공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도입이 재고관리와 납기일 준수는 물론 공정 품질 향상과 균일화에 기여해 해외 고객사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단공은 지난해 반월·시화, 구미, 창원, 울산 등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한 244개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방문 조사를 했다.

응답 업체 중 70.9%가 ‘스마트공장 도입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적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 중 6.1%는 ‘실제 적용 후 기술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기술 도입의 예상 효과로는 ‘생산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60.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매출 증대’(54.1%), ‘비용 절감’(45.5%), ‘수출 증대’(23.4%) 순으로 기대가 컸다. 종업원 수가 많거나 연구개발(R&D) 투자·수출 경험이 있는 기업일수록 생산효율이 늘어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스마트공장 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공정으로는 응답 기업 중 72.6%가 ‘생산관리’를 꼽았다. ‘설비관리’(41.0%), ‘물류 관리’(35.9%)가 뒤를 이었다.

스마트공장 도입을 망설이게 하는 장애요인으로는 ‘표준 도입 솔루션 부족’이 꼽혔다. 생산관리와 재고관리에 스마트공장 기술을 각각 도입했을 때 두 시스템 간 표준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경남권 한 업체는 “생산관리와 재고관리 시스템을 묶어줄 별도의 시스템을 추후로 도입해야 해 번거롭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도입이 실제로 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결과 예측의 불확실성’(27.0%)도 기술 도입을 꺼리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공장 특성상 수작업만 가능한 부분’(21.6%)도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 등 사후관리 부담’(59.3%)은 스마트공장 운영 때 겪는 주요 어려움으로 꼽혔다. ‘초기 투자자금이 부담스럽다’(37.0%),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29.6%)는 의견도 많았다. 매출 규모가 작거나 성장 초기 기업일수록 사후관리에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들은 스마트공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려면 교육시스템과 세제 혜택 등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산단공은 ‘산업단지 공장 스마트화 실태보고서’를 토대로 산업단지에 특화된 스마트공장 구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산업단지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1차로 유니테크 아폴로산업 등 10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왔다. 산단공 관계자는 “이들 스마트공장은 스마트산단을 이루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