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부실 땐 '대마불사' 기대 어려워"

성동조선해양에 이어 10일 STX조선해양까지 법정관리행이 확정되자, 중소 조선사뿐 아니라 대형 조선사들까지 술렁이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정부가 더는 부실 조선사 연명을 위한 지원에 매달리지 않고, 철저한 구조조정을 통한 지속가능성과 회생 의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냉정하게 '정리' 수순을 밟는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업계에 전달한 셈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까지 약 5조8천억원을 지원받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더욱 철저한 자구안 이행에 대한 압박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처지다.

◇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 자구안 이행률 47~101%

2006~2007년까지 세계 조선업의 '초호황'에 취해 자발적 구조조정을 게을리한 한국 조선업체들은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와 함께 세계 금융·경제가 위축되면서 위기를 맞았다.

대형 조선 3사, 이른바 빅3(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는 조선 발주 감소분을 메우기 위해 아직 설계 등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해양플랜트 사업에 대거 뛰어들었다.

그러나 '설상가상' 격으로 2014년께부터 유가가 추락하면서 해양플랜트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15년 한해에만 '빅3'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본 손실이 8조원에 이르렀다.

결국, 2015년 정부가 조선업 구조조정에 나섰고 국책은행을 통해 대우조선에 4조2천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했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3월에도 2조9천억원의 추가 유동성과 2조9천억원 채권 출자전환까지 모두 5조8천억원의 지원을 받았다.

두 차례에 걸쳐 대우조선에만 정부와 채권단이 약 10조원을 쏟아 부은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대우조선은 노사분규 자제, 임금·인력 구조조정 등을 포함한 노사 경영정상화 확약서를 2015년 10월, 2016년 11월, 2017년 4월 3차례나 채권단에 제출했다.

아울러 2016년 이후 지금까지 대우조선뿐 아니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까지 '빅3'는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 등 11조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정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의 자구계획 이행률은 100.5%, 71.1%, 대우조선 47.4% 수준이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2020년까지 자구계획을 기준으로는 이행률이 절반 수준이지만, 2017년까지의 계획(2조7천억원)만을 기준으로 보면 초과 달성(2조8천억원)했다"고 설명했다.

◇ "스스로 살 길 찾아야"…증자, 희망퇴직 등 안간힘

하지만 대형 조선사들 역시 아직 '자구계획 성공', '회생'을 장담하기 어려운 처지다.

지난해 12월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은 나란히 1조원이 넘는 유상 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두 업체 모두 "당장 유동성 위기는 아니고, 2018년 금융권 차입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해 미리 증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하지만, 결국 자금난 우려 때문에 증자를 통해 수혈을 시도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지난해 영업손실이 5천242억원으로 2016년보다 256%나 늘었고, 현대중공업 작년 영업이익은 1년 새 96%나 급감한 146억원에 그쳤다.

대우조선의 경우 작년 영업이익 7천330억원, 당기 순이익 6천457억원을 거둬 6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대우조선이 앞서 보수적으로 많이 잡아놓은 대손충당금이 환입되며 장부상 이익이 크게 늘었을 뿐"이라며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과 마찬가지로 '일감 절벽'을 겪는 것은 마찬가지인 만큼 실제 지난해 실적이 좋다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실적 부진, 일감 보릿고개 가운데 중소 조선사들의 잇단 법정관리행까지 목격한 대형 조선사들은 앞으로 허리띠를 더욱 조를 전망이다.

이미 현대중공업은 16일부터 29일까지 근속 10년 이상 사무직과 생산기술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경영난이 심해지자 2년 만에 다시 희망퇴직 카드를 꺼낸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6년 과장급 이상 사무직과 기장 이상 생산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2015년에도 과장급 이상 사무직과 여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총 3천500여 명이 희망퇴직했다.

대우조선도 2014년 말 1만3천602명에 이르던 인력을 지난해 1만226명까지, 3천명 이상 줄였지만 추가 구조조정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와 채권단의 중소 조선사 처리 방향을 보면, 더 이상 구조조정에 '대마불사' 관행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며 "한 번 더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 아무리 대형 조선사라도 파산에 이를 수 있다는 경각심이 커진 게 사실"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행히 수주 실적은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3월 한국 누적 수주량은 263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52척)로, 중국(196만CGT·78척)과 일본(80만CGT·25척)을 앞질렀다.

한국은 2011년 이후 작년까지 7년 연속 연간 수주량 순위에서 중국에 밀려 2위에 머물렀지만, 올해 8년 만에 역전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