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썰렁한 GM 군산공장 >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한국GM 군산공장을 폐쇄하겠다고 발표한 13일 군산공장 정문 모습. 하루 종일 오가는 차량과 인적이 드물었다.  /군산=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 썰렁한 GM 군산공장 >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한국GM 군산공장을 폐쇄하겠다고 발표한 13일 군산공장 정문 모습. 하루 종일 오가는 차량과 인적이 드물었다. /군산=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한국GM이 오는 5월 말께 군산공장 문을 닫는다는 발표를 내놨다. 같은 내용이었지만 결은 달랐다. 한국GM은 ‘사업 구조조정 계획’이라고 한 데 비해 GM은 영문 자료를 통해 ‘1단계(first step) 구조조정’이라는 표현을 썼다. 군산공장 폐쇄 조치 후에도 추가 구조조정이 이어질 것이란 뜻이다. GM의 한국 철수설(說)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 대목이다. 한국 정부와 한국GM 2대 주주인 산업은행, 자동차 및 관련 부품업계, 지역사회, 정치권 모두 GM의 진의와 노림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협력사 직원 1만3000명도 ‘쇼크’

5월 말 문을 닫는 군산공장은 그동안 ‘부실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었다. 연간 생산능력이 26만 대에 달하지만 지난해 생산량은 3만3983대에 그쳤다. 3년간 공장 가동률은 20% 수준에 불과했다. 공장을 놀리는데도 인건비는 계속 올랐다.
미국 GM "군산공장 폐쇄는 1단계 조치… 다른 공장 운명도 몇주내 결정"
군산공장 폐쇄는 GM의 글로벌 사업 재편 전략과도 맞아떨어진다는 분석이다. GM은 최근 수년간 생존 경쟁력이 없거나 돈이 안 되는 사업장은 문을 닫았다. 군산공장 폐쇄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GM 측은 이번 조치로 비현금성 자산 상각과 퇴직금 등 인건비 지출 등에 8억5000만달러(약 9200억원)가 들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 돈은 2분기 회계장부에 ‘특별지출’로 반영한다.

파장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가장 큰 문제는 일자리다. 군산공장엔 계약직을 포함해 2000명의 근로자가 있다. 이들 대부분 희망퇴직 절차를 밟게 될 전망이다. 한국GM은 희망퇴직 신청자에게 2~3년치 연봉을 줄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만 부평 1·2공장과 창원공장 등에 재배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15곳의 1차 협력사를 비롯해 100곳(2·3차 포함)에 달하는 협력업체도 직격탄을 맞게 됐다. 군산공장만 바라보는 협력업체에 소속된 근로자만 1만3000명에 이른다.

“시간 없다, 긴급히 움직여야”

GM이 이번에 군산공장 폐쇄를 전격 발표하면서 추가 구조조정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선 한국GM의 전체 인건비(작년 기준 평균연봉 8700만원)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3조원 가까운 손실을 보면서도 임금은 계속 올랐기 때문이다.

부평 1·2공장(연 44만 대)과 창원공장(21만 대), 보령공장(변속기) 등 다른 공장의 구조조정 가능성도 높다. 소형 아베오·트랙스, 중형 말리부·캡티바 등을 생산하는 부평공장의 가동률은 100%를 유지하고 있지만, 경차 스파크와 상용차 다마스·라보 등을 생산하는 창원공장의 가동률은 70% 수준에 그치고 있다. 부평 1·2공장엔 1만여 명, 창원공장엔 2000여 명, 보령공장엔 600여 명의 근로자가 근무한다. 나머지 직원은 서비스센터 등에 있다.

댄 암만 GM 사장은 나머지 3개 공장의 폐쇄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암만 사장은 12일(현지시간)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 노동조합과의 협상 결과를 토대로 몇 주 안에 나머지 공장도 (폐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시간이 없다. 모두가 긴급히 움직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GM은 다음달 글로벌 신차 생산 및 판매 계획을 마무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달 말까지 한국 정부와 산업은행에 ‘답’을 달라고 압박했다. GM은 한국GM에 대해 △3조원 안팎의 증자 참여(산은 5000억원) △대출 재개 △세금 감면 등을 요구해왔다. 대신 연간 30만 대 규모의 신차를 배정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업계에선 GM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나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협력업체 및 이해관계자를 합쳐 20만~30만 명의 일자리가 걸린 한국GM을 포기하기엔 그 파장과 부담이 너무 크다는 점을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장창민/도병욱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