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분야 9급시험, 직업상담사 자격증 보유자 5% 가산점
고용직류 등 760명 별도 선발
현재 비정규직 응시자 절대 유리
필기 40점만 넘으면 면접…5회 동안 가산점 유효
공공기관 비정규직 챙기기
여론 민감한 지자체 더 노골적
"직업상담사 가산점 부당"
뿔난 공시생들, 헌법소원도 제기
공무원시험 준비생(공시생) 커뮤니티에서 ‘불공정’ 논란이 뜨겁다. 고용노동부 인증 자격증인 직업상담사 시험을 놓고서다.
11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올해 직업상담사 2급 자격증 시험 마감일인 지난 8일까지 1만1189명이 신청해 역대 가장 많은 지원자가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예년보다 70% 증가했다. 공시생 커뮤니티에서는 “정부의 ‘비정규직 챙겨주기’도 모르고 공시생들끼리 박 터지듯 경쟁하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직업상담사 시험 논란은 지난달 초 정부가 올해 9급 공무원 시험에서 고용노동직류와 직업상담직렬만 떼어내 별도로 760명을 선발하기로 하면서 촉발됐다. 별도직렬로 시험을 치르면 선택과목에 노동법 등 실무경험이 풍부한 현직 비정규직에 유리한 과목이 포함된다. 게다가 직업상담사 자격증 소지자에게는 변호사와 같은 수준(최대 5%·25점)의 가산점을 준다. 이 자격증의 취득 난도가 상당히 낮은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고용부 비정규직의 42%인 1183명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공시생들은 “비정규직을 시험을 통해 정규직으로 만들기 위한 정부의 노골적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공시생들도 부랴부랴 자격증 시험을 신청했지만 올해는 공무원 시험을 먼저 치르기 때문에 가산점 혜택을 볼 수조차 없다. 내년 시험에서라도 혜택을 보려면 이 자격증을 따야 한다는 부담만 생겼다.
‘직업 상담사 가산점 논란’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달 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게재된 ‘직업상담사 2급에 5%의 가산점은 부당하다’는 제목의 청원에는 1만3000여 명이 서명했고, 일부 공시생은 헌법소원도 제기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고용노동부와 인사혁신처가 합작한 노골적인 비정규직 챙기기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한 교수는 “해당 직종 근무자에게 유리하도록 9급 공무원 직렬의 시험을 설계한 데다 그 직종 근무자 대다수가 가지고 있는 자격증에 총점 25점의 막대한 가산점을 줬다”며 “시험을 통해 비정규직과 공시생이 같은 경쟁을 하는 모양새를 하고 있지만 명백하게 다른 출발선에 서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조기현 중앙헌법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는 “통상 공무원 시험에 자격증 가산점을 부여할 때는 형평성을 고려해 1~2년의 예고기간을 두기 마련이지만 이번에는 아무런 사전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공고했다”며 “일반 공시생은 합격하기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조 변호사는 “올해 새로운 직렬을 만들어 대규모 채용을 하면 당분간 이 직렬의 채용인원은 줄어들어 공시생들은 더 힘겨운 경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채 시험에서 과도한 비정규직 챙겨주기는 공공부문 전반에서 나타난다. 특히 비정규직의 목소리가 크고 지역 여론에 민감한 지방자치단체들이 노골적이다. 여수시는 비정규직 공무원이 공무원 시험을 칠 경우 필기 40점을 넘으면 면접 기회를 주기로 했다. 필기 점수 커트라인은 ‘최종 합격자의 2배수’지만 시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은 이와 상관없이 40점만 넘으면 된다.
부산교통공사는 상반기 100여 명을 뽑는 입사 시험을 앞두고 소속 비정규직에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자격증 소지자와 같은 수준인 5점의 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게다가 이 가산점은 향후 5회의 공채 시험에서 유효하다. 비정규직이 취업준비생에 비해 어학시험 준비가 소홀하다는 점을 감안해 토익 600점이라는 응시자격도 없앴다. 직업기초능력평가(NCS)와 전공시험 등만 치르면 된다.
"학생들이 외면하는 대학은 스스로 문 닫도록 구조개혁해야"KDI 국가미래전략 콘퍼런스…추경호 "대학규제 전면 개편" 한국경제의 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2050년 경제 성장률이 0%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국책연구원에서 제기됐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KDI 국가미래전략 콘퍼런스에서 장기경제성장률의 전망과 시사점을 발표했다. 정 실장은 한국경제 성장률이 지속해서 하락해 2050년에 0.5% 내외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2010년대 0.7%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 25∼50% 수준인 1.0%로 올라선다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2010년대 수준을 유지한다는 시나리오에 따르면 2050년에 0%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생산성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제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고령화 등으로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전망된다는 점도 부정적인 요소다.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2020년 72.1%에서 2050년 51.1%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 실장은 경제성장률 하락을 완화하기 위해 생산성 개선을 위한 구조개혁, 노동 공급 축소를 위한 완화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학생이 외면하는 대학은 스스로 문을 닫도록 하는 대학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고영선 KDI 연구부원장은 정부 주도의 대학 구조개혁이 교육부 자체 평가와 재정지원과 연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한계가 있었다고 짚었다. 교수 등의 반발이라는 공급 측 요인과 함께 학생들이 성적에 맞춰 대학 및 학과를 선택하는 경향 등도 대학 구조조정 지연의 원인으로 꼽았다. 고 부원장은
“한국은 동남아시아 등 제한된 이민자를 두고 일본 대만 등과 경쟁하게 될 것입니다.”(이혜경 배재대 명예교수) “이민 확대가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는 없습니다”(이성용 한국인구학회장)인구 문제를 연구하는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30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연 ‘인구 감소시대 한국의 이민정책: 방향과 쟁점’ 세미나에서는 이민이 인구문제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놓고 전문가들의 격론이 벌어졌다.한국인구학회장과 한국이민학회장을 지낸 이혜경 배재대 명예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이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고용허가제, 다문화 정책 등을 발 빠르게 시도하며 아시아 내에서는 이민정책 선도국가로 자리잡고 있다”며 “우수인재와 돌봄인력 확보, 농촌 등 지역 특화 산업 육성을 위한 이민정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이민 선진국으로는 캐나다의 사례를 제시했다. 캐나다는 세계 최대 이민자 유입국인 미국과 경쟁해야 했기 때문에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간 협업이 잘 이뤄졌다는 것이다. 이 명예교수는 “한국도 지방정부의 전문성을 높여 이 같은 협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민청 설립 논의에 대해선 “부처별 대상별로 흩어져 있는 정책을 연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했다.이성용 한국인구학회장은 “이민 확대를 통한 해외 노동인구 유입이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일부 해소할 수 있다”면서도 “2040년 이후엔 생산가능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매년 100만 명 이상의 이민자를 받아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지속 가능한 대안은 아니다&rd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