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이 1만달러 밑으로 내려가는 등 가상화폐 가격이 줄줄이 하락세를 보였다. 해킹이 늘면서 가상화폐거래소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도 규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미국 가상화폐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한국시간 기준 31일 오전 10시12분 1비트코인당 9641달러까지 떨어지면서 13%에 이르는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날 비트코인캐시와 이더리움도 각각 1394달러, 1024달러로 전날보다 12%, 14% 떨어졌다. 이들 가상화폐는 이날 오후 들어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세계 최대 가상화폐거래소 중 하나인 비트피넥스를 조사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CFTC는 지난 1월6일 비트피넥스와 코인을 발행하는 테더에 소환장을 발부했다. 두 회사의 최고경영자는 같다.
비트피넥스는 가상화폐 거래 시 미국 달러화 대신 테더가 발행한 코인을 사용하고 있다. 테더의 코인 거래 규모는 23억달러(약 2조465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테더는 코인 가치에 해당하는 만큼의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입증을 하지 않고 있어 관련 의혹이 커지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가상화폐공개(ICO)와 관련해 처음으로 자산동결 조치를 취했다는 소식도 30일(현지시간) 전해졌다. SEC는 텍사스에 있는 ‘어라이즈뱅크’가 ICO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허위정보를 알린 혐의를 포착하고 투자자로부터 모은 6억달러(약 6432억원)를 동결조치했으며 동결 자산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기 위해 재산관리인을 지정했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은 이날 비트코인과 ICO 등을 포함한 가상화폐 관련 광고를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보조금 지급 기준 인하로 L당 보조금 25원 증가…"유류비 부담 경감" 고유가 상황에서 화물차·버스·택시업계의 유류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도입된 경유 유가연동보조금이 다음달 1일부터 확대 지급된다. 국토교통부는 경유 유가연동보조금 지급 확대를 위해 개정된 '화물차 유가보조금 관리 규정'과 '여객차 유가보조금 지급지침'을 고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들 새 규정과 지침은 하루 뒤인 7월 1일부터 시행된다. 경유 유가연동보조금 제도는 경유 가격이 기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분의 50%를 화물차·버스·택시 종사자에게 지원하는 제도다. 올해 초 유가 급등으로 인해 소득이 감소한 교통·물류업계 종사자를 지원하기 위해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시행 중이다. 정부는 5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추월하는 등 교통·물류업계의 유류비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관계부처 회의를 통해 지급기준을 L(리터)당 1천850원에서 1천750원으로 인하한 바 있다. 이후 경유 가격이 L당 2천100원을 초과하는 등 고유가 상황이 이어짐에 따라 6월 19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지급 기준을 한 번 더 인하(1천750원→1천700원/ℓ)로 결정했다. 지급 기준이 낮아지면 보조금은 L당 25원 늘어난다. 경유 가격이 L당 2천100원일 때 기준 단가가 1천750원이면 175원의 보조금이 나오지만, 기준 단가가 1천700원이 되면 200원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화물차 44만대, 버스 2만대, 택시 500대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월평균 2천558L의 유류를 소비하는 12t(톤) 이상 대형 화물차의 경우 월 최대 47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헌상 국토부 물류정책관은 "이번 유가연동보조금 지급 확대로 고유가에 따른 화
식품업체 제너럴 밀스(티커:GIS) 가 매출과 주당 순익 모두 월가 예측치를 웃도는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9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제너럴 밀스는 이 날 주당 1.12달러의 조정순익과 매출 49억 달러의 분기실적을 보고했다. 이와 함께 배당금도 주당 51센트에서 55센트로 올렸다.월가의 예측치는 조정순익 주당 1.01달러에 매출 48억 달러 였다.이 소식으로 개장후 제너럴 밀스 주가는 동부표준시로 오전 10시57분 현재 전날보다 5.3% 오른 74달러에 거래중이다. 제너럴 밀스는 올해 발빠른 헤지로 국제 곡물 가격 급등을 잘 넘어서 전 분기보다 나은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회사는 내년에 매출 원가가 사상 최대 수준인 14%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월가 분석가들은 최근 분기의 실적이 중요하지만 향후 총 마진율 등의 실적 전망 가이던스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될 경우 국제 곡물 가격의 상승을 어디까지 헤지할 수 있을지와 함께, 포장식품업체가 인플레이션 이상으로 가격 상승이 가능할 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씨티그룹이 테슬라(티커:TSLA)의 수익 추정치를 낮추고 투자 의견을 ‘매도’로 제시했다. 29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2분기 차량인도 예측 및 수익 추정치를 낮추며 투자 의견을 이같이 강등했다. 씨티가 제시한 테슬라의 12개월 목표 주가는 375달러로 평균 9백달러인 월가의 테슬라 목표주가중 가장 낮은 범주에 든다. 씨티 분석가 이태이 마이클리는 테슬라의 2분기 납품대수를 25만 8,500대로 내리고 2분기 수익 예측도 종전 주당 2.46달러에서 주당 1.91달러로 낮췄다. 올 한해로는 중국공장의 생산 차질 및 원가 상승등으로 주당 14.40달러로 예상했던 수익을 주당 14.06달러로 하향했다. 한편 2023년 수익에 대해서는 주당 20.36달러를 유지했다. 이는 680달러 전후인 테슬라의 현주가가 내년 예상 주당 순익의 약 34배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마이클리 분석가는 테슬라가 현재 EV 리더이지만 미래는 불확실하다며 내년 주당 순익 추정치의 18배 정도에서 목표가를 설정했다고 밝혔다. 팩트셋에 따르면 테슬라의 2분기 차량인도대수에 대한 컨센서스는 현재 약 26만5,000대 수준이며 블룸버그는 여전히 28만대로 예상하고 있다. 낙관적인 일부 분석가들은 여전히 34만대 단위까지 예상하고 있으나 최근 업데이트되는 새로운 납품인도대수는 24만대 범위로 내려왔다. 내년 수익에 대한 월가의 평균 추정치는 주당 15.69달러로 마이클리 분석가 보다 높게 보는 편이다. 주당 순익을 15.69달러로 볼 경우 테슬라 주가는 현재 44배에 거래되고 있는 셈이다. 나스닥 종합 지수는 나스닥 기업들의 2023년 추정 수익의 약 20배에서 거래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