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및 시범사업에 예산 140억원 투입…"비금융권에 주력"
정부, 올해부터 블록체인 융합기술 개발투자 본격화
정부가 올해를 블록체인 융합기술 개발지원의 원년으로 삼고 사업 공모에 시동을 걸었다.

정부는 작년부터 사물인터넷(IoT)이나 정보보안 분야에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넣는 방식으로 연구개발(R&D) 예산을 책정했으나, 올해 신규사업부터는 예산을 다른 분야와 분리해서 독자 분야로 책정했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부가 올해 블록체인 기술의 연구개발(R&D)과 시범사업에 투입할 예산은 140억원 내외다.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지원 예산은 주로 비금융 분야에 집중돼 있다.

이미 블록체인 기술 관련 투자와 제휴가 활발한 금융권과 달리, 비금융 분야에서는 각 분야에 알맞은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아이디어를 다른 분야에 접목해 시험적으로 구현하고 유용성과 타당성이 있는지 점검하는 탐색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우선 올해 신규로 시작하는 블록체인 융합기술 개발사업에 45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작년에 IoT와 정보보안 분야로 분류돼 올해도 이어지는 사업까지 합하면, 올해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투입되는 예산은 약 100억원에 이른다.

블록체인 융합기술 개발 사업은 기존 블록체인 기술이 지닌 단점을 보완해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2∼3년 과제로 연구하는 것이다.

적용 분야에 알맞고 고용량·고속으로 구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관건이다.

블록체인 기술이 구현된 첫 사례인 비트코인의 경우 거래량이 많아지면 커지는 용량을 감당하기 어렵고 거래 인증에 걸리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 거래 인증을 분산 방식으로 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주기 위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과정이 있는데 이는 비트코인에서는 적절하지만 컴퓨팅 파워라는 리소스를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다른 목적에는 부적합하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정부는 블록체인 R&D와 별도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사업관리를 하는 '블록체인 활용 기반 조성 시범사업'에도 42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는 신기술 개발이 아니라 1년 단위 시범사업을 통해 실제 활용사례를 만드는 사업이다.

작년에는 ▲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전력을 이웃에게 판매할 수 있는 전력거래 플랫폼 ▲ 전기화재 발화지점 분석지원 시스템 ▲ 실손의료보험금 자동청구 서비스 등 시범사업이 이뤄졌다.

금융권은 블록체인 기술 탐색과 적용에 이미 꽤 적극적이며 몇 년 전부터 기술에 대한 투자와 핀테크 스타트업과의 제휴 등을 통해 대비해 왔다.

이 중 해외송금이나 인증 등 서비스는 국내외에서 이미 상용화된 사례가 있다.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를 운영하는 국내 핀테크 기업 중 상당수가 초기에 은행권 등과 파트너십을 맺거나 투자를 받았다.

KB국민은행은 2015년 9월 국내 핀테크 업체 코인플러그에 15억원을 투자하고 인증ㆍ송금 서비스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IBK 기업은행은 2016년 3월 핀테크 기업 '코빗'과 협력해 블록체인 기반 금융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신한은행은 2016년 7월 블록체인 외환송금 서비스 개발 스타트업 '스트리미'와 협업을 시작했으며, 2016년 8월 '신한 골드 안심 서비스'로 금 실물거래가 이뤄질 때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구매 교환증과 보증서를 발급하기 시작했다.

KEB 하나은행은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센터인 '원큐랩(1Q Lab)'을 통해 센트비 등 핀테크 기업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해외송금 서비스를 2015년 6월에 구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