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가 나왔다.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출시 후 약 9개월간 일본에서만 250만 대 넘게 팔렸다. ‘역시 닌텐도’란 말이 나왔다. 일본 닛케이 트렌드가 선정한 올해 10대 히트 상품 중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티몬 상품기획자(MD)들은 ‘20~30대에게 주면 좋아할 선물’로 닌텐도 스위치를 꼽았다. 한글판이 최근 출시돼 티몬 등 국내 쇼핑몰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박태훈 티몬 MD는 “TV에 연결해 콘솔 게임기로 쓰다 집 밖에선 휴대용 게임기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슈퍼마리오 신작 오디세이 게임과 함께 선물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할 것”이라고 했다.
20~30대 여성을 상대로 한 최고의 선물로 추천받은 발뮤다 토스터(더 토스터)는 ‘죽은 빵도 살려낸다’는 별칭이 있다. 올해 주부 사이에서 화제가 된 가전이다. 스팀 기능으로 빵 표면에 얇은 수분막을 형성해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구워지는 게 특징이다. 지난해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IF에서 디자인상을 받을 만큼 디자인도 뛰어나다. 황영글 MD는 “혼수 선물로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외모에 관심이 많은 10대에겐 뷰티 관련 선물을 추천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가장 높다는 이유였다. 남성용으론 블랙몬스터의 ‘블랙밤’이 리스트에 올랐다. 겨울철 입술이 트지 않게 보습 작용을 하는 립밤이다. 스틱형으로 한쪽은 기본 립밤 기능을, 다른 한쪽은 입술을 생기 있어 보이게 하는 발색 기능을 한다. 같은 연령대 여성용 선물은 에이프릴스킨의 ‘매직스노우쿠션화이트’가 뽑혔다.
40~50대는 건강 상품을 권했다. 오므론의 ‘상완식 자동전자혈압계’는 남성 선물로, 바디프랜드의 안마의자 ‘뉴팬텀’을 여성 선물로 추천했다.
인기 햄버거 프랜차이즈 '맘스터치'가 버거 빵(번) 납품을 SPC 삼립 제품으로 변경한다는 소문에 '맘스터치'가 입을 열었다. 맘스터치는 30일 한경닷컴에 "공급되는 모든 빵이 SPC 제품으로 변경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기존에도 세 군데 정도에서 납품받았는데, SPC 사건과 무관하게 2017년 SPC와 계약 종료를 했다가, 최근 다시 진행하게 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해 10월 SPC 계열사인 SPL 평택 공장에서 근로자 안전사고 발생 이후 온라인을 중심으로 관련 업체에 대한 불매 운동이 벌어진 바 있다. 불매 운동이 불거졌을 당시 맘스터치 측은 "SPC로부터 빵을 납품받는 게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최근 맘스터치 아르바이트생으로 추정되는 한 누리꾼이 '버거 빵 업체 변경 안내'라는 제목의 공지문 캡처를 올린 게시물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다.해당 공지에는 "4월부로 품질 개선을 위해 기존 롯데에서 삼립으로 납품 변경 안내해 드린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맘스터치 측은 "매장이 거의 1400개 정도 되다 보니 사실 1개 업체에서 (버거 빵을) 다 납품받을 수 없다"며 "모든 매장에 버거 번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려면 여러 업체에서 공급받아야 하는데, 한 업체에서 혹시나 내부적인 이슈가 생겨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겼을 때 다른 쪽에서 바로 공급받아야 하므로 결정하게 된 것"이라고 이번 업체 변경에 대해 설명했다.그러면서 "버거는 품질이 제일 중요하고, 모든 거래에 있어 맘스터치는 품질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어떤 지점에서 SPC 제품이 어느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잠실 롯데월드몰을 찾은 강모 씨(27)는 오픈 예정인 노티드 매장을 보고 "규모가 엄청나서 깜짝 놀랐다"고 했다. 김씨는 지난해 노티드를 줄 서서 한 번 먹어봤다며 "우리나라가 이렇게까지 '도넛의 민족'일 줄은 몰랐다"며 웃어보였다.롯데월드몰 5층과 6층에 총 991m²(340평) 규모의 '노티드 월드' 19번째 도넛 매장이 오픈했다.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잠실 한가운데 선보이는 초대형 매장이다. 30일 오후 2시께 노티드 월드를 찾았다. 일반적 도넛 가게와는 달랐다. 복층 구조로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넓은 창 너머 벚꽃이 흐드러진 석촌호수가 보였다. 매장 5층에는 도넛과 각종 디저트류는 물론 물티슈, 인형, 컵, 스티커 등 노티드의 시그니처 캐릭터들을 활용한 굿즈 40여 종을 판매하고 있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인테리어다. '시스루'(속이 비치는 형태) 구조 칸막이를 설치해 고객들로 매장이 꽉 차있는 모습이 보이게끔 했다. 오픈형 키친을 통해 수제 도넛이 위생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장면도 보여줬다. 6층에는 각종 포토존이 마련됐다. 계단을 한층 올라가면 매월 바뀌는 포토존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증샷을 남길 수 있다. 이번 잠실점 오픈과 함께 출시된 컵케이크 8종과 우피파이(미국 정통 초콜릿 간식), 슬러시는 잠실점에서 한정 판매한다. 노티드의 특징인 아기자기한 비주얼을 자랑했다. 수제로 반죽을 만들어 쫀득하고 부드러웠다.공식 오픈일은 31일이다.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한다. 약 150명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오픈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된다.이번 노티드 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의 장남인 허진수 SPC 사장(맨 왼쪽)이 ‘K베이커리’ 홍보대사를 자처하고 나섰다. 최근 허 사장이 어느 자리에서나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SPC의 베이글을 ‘본고장’인 캐나다 대사대리 등을 초청해 선보였다.SPC는 30일 서울 서초구 파리바게뜨 강남서초점에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대리, 딘 디아스 캐나다 곡물협회 회장 등을 초청해 베이글 체험방문 행사를 열었다. 이들은 파리바게뜨의 ‘두번쫄깃 베이글’ 5종과 크림치즈 등을 시식하고 제품 개발 과정과 고객 반응, 캐나다산 원료 사용 현황 등의 설명을 들었다.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대리는 “쫄깃한 식감과 풍미를 잘 살린 한국 기술에 놀랐다”고 말했다.캐나다의 몬트리올은 미국 뉴욕과 함께 베이글이 유명한 양대 도시로 꼽힌다. 파리바게뜨는 허 사장 주도로 2021년부터 1년 넘게 베이글을 개발했다. 그 결과물로 지난 2월 부드러운 몬트리올식 베이글과 밀도가 높은 뉴욕식 베이글의 장점을 합친 쫀득한 식감의 한국식 베이글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한 달 만에 200만 개 이상 팔렸다.SPC의 핵심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의 글로벌 사업과 경영전략총괄 임원을 겸하고 있는 허 사장은 2012년부터 중앙연구소인 이노베이션랩을 총괄하면서 신제품 개발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허 사장은 “맛과 품질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투자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하는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하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