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신재생 20%' 목표 달성 '앞장'…"정부가 공기업 압박" 비판도
에너지공기업, 신재생사업에 앞다퉈 '올인 모드'
에너지 공기업들이 신재생에너지 사업 투자를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정부가 내건 '2030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비중 20%' 목표를 달성하려면 거대 에너지 공기업들이 전면에 나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목표가 계획대로 추진되려면 올해 17.2GW 수준인 신재생에너지가 2030년 62.6~67.7GW까지 늘어나야 한다.

지금부터 45~50G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더 지어야 한다.

원전으로 따지면 1기당 1GW짜리 설비가 50기 가까이 필요한 셈이다.

이처럼 막대한 규모의 설비 투자 대부분은 공기업이 맡게 될 전망이다.

우선 최대 에너지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발 벗고 나섰다.

한전이 자유한국당 이채익 의원에게 제출한 '한전 신재생발전 사업 추진 계획'에 따르면 한전은 2030년까지 신재생발전 사업에 54조원(발전량 13.5GW)을 투입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 67.7GW의 20%가량을 한전이 책임지는 것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2030년 신재생발전량 가운데 태양광은 5.0GW, 풍력은 8.1GW, 연료전지 0.4GW를 각각 차지하게 된다.

다만 현재 한전은 전기사업법에 묶여 발전사업을 할 수 없다.

이 같은 목표를 추진하려면 법 개정부터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법을 개정해 한전에 발전사업 진출을 허용하고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전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직접 개발하는 방안을 허용하는 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탈원전 정책으로 수세에 몰린 한국수력원자력도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한수원은 2030년까지 태양광 3.2GW 등 신재생설비를 8.4GW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는 수력 607㎿, 태양광 60㎿ 등 총 777㎿의 신재생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한수원은 최근 강원도 원주 태양광 발전설비(90㎿ 규모) 구축, 인천시 동구 연료전지 발전설비(40㎿ 규모) 구축 등에 대한 MOU를 체결하는 등 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석탄화력발전이 주력이던 5개 한전 발전 자회사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국내 최대 규모인 51기(105㎿)의 풍력발전기를 운영하는 남부발전이 대표적인 예다.

남부발전은 최근 강원 태백 귀네미풍력발전(19.8㎿, 1.65㎿짜리 12기)을 착공했다.

삼척 육백산 풍력(30㎿), 강릉 안인풍력(60㎿), 제주 대정읍 해상풍력(100㎿) 등도 추진하고 있다.

또 세계 처음으로 복합형 태양광 모듈 연구 개발에도 착수했다.

집광형(集光形)과 비집광형 모듈의 장점을 고루 활용해 발전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남부발전은 아울러 삼척발전본부 유휴부지에 100㎿급 친환경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도 추진하고 있다.

남동발전은 1GW규모의 대규모 해상풍력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 신안 등 서남해안 중심으로 개발 중인 해상풍력 사업을 조기에 완공하고 신규 사업도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전남 해남, 경남 김해 등에 100만평 이상 대규모 부지를 확보해 신재생에너지 복합단지를 조성해 나가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서부발전도 최근 경남 거제(23㎿)와 전남 완도(150㎿)에서 풍력 발전사업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잇따라 공개했다.

지난 8월에는 충남 태안군과 함께 40㎿ 규모 수상태양광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발표한 바 있다.

서부발전 정영철 사장 직무대행은 지난달 27일 완도군과 해상풍력 발전사업 MOU를 체결한 뒤 "앞으로도 지자체와 신재생 전원을 공동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분위기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가 공기업을 지나치게 압박한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이채익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우리나라 현실을 무시한 채 신재생에너지 20% 달성을 위해 무리하게 한전 등 공기업을 압박하는 것은 문제"라며 "현실성 있는 에너지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coo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