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노출 경로에 따라 위해성 다를 것…공인시험방법도 아니야"
김만구교수 "식약처 신뢰 어려워… 착용 부위에 노출 고려 없어"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는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다는 보건당국의 발표에 생리대 방출물질 검출시험을 진행했던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신뢰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28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가혹한 조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검출량의 인체 위해성을 평가한 것은 맞다"라면서도 "이 물질들이 여성의 생식기에 노출됐을 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피부 어느 부위에 노출되느냐에 따라 인체 위해성이 다를 수 있는데 여성의 생식기도, 피부도 아닌 입을 통한 흡수(경구흡수)를 기준으로 실험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이날 실험 결과 발표 현장에서도 기자들이 피부가 아닌 경구흡수를 기준으로 삼은 점을 지적했으나 식약처는 "학계에서는 경구로 하는 실험이 피부로 하는 것과 거의 같은 것으로 본다.피부 흡수로 한 자료가 없으면 경구로 투여해서 실험한 자료를 일반적으로 쓴다"고 설명했다.

생식기는 예민한 피부이기 때문에 흡수율이 굉장히 높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예민한 정도 차이만 있을 뿐 흡수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생리대 안전 문제가 크게 논란이 된 것은 다른 피부도 아닌 여성의 생식기를 통해 화학 물질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라며 "화학 물질이 팔뚝에 노출돼 흡수됐을 때와 생식기를 통해 흡수됐을 때의 위해성이 같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성들 역시 '화학 물질이 질을 통해 흡수돼 생리현상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호소하고 있는데 '100% 피부 흡수라는 최악 조건을 가정해 실험했으므로 안전하다'라는 식약처의 설명을 선뜻 믿을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교수는 또 "내 실험을 보고 공인시험방법을 쓰지 않았다며 엉터리라고 하더니 결국 식약처도 공인시험방법을 쓰지 않았다.공인시험방법이 없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식약처 실험도 엉터리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쓴소리했다.

그는 "해외에도 피부 독성 반응에 대한 실험만 있을 뿐 생식기에 화학 물질이 노출된 경우를 가정한 실험은 없다.하려고 해도 시간이 한참 걸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현대사회를 살면서 화학제품이 노출되지 않고 살아가긴 힘들다.생리대도 마찬가지다.지금 식약처가 할 일은 이 같은 사실을 국민에게 설명하고 납득시켜서 화학 물질 노출을 줄여나가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conany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