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가 1% 하락(원·달러 환율 1% 상승)하면 원화로 환산한 한국의 순해외자산 가치가 국내총생산(GDP)의 0.5%가량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채권시장에서 자본 유출이 확대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3일 한국경제학회(회장 구정모)와 한국계량경제학회(회장 윤택)가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시아연구소에서 연 공동세미나에 참석해 ‘금융 글로벌화와 금융 실효환율’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GDP 대비 대외자산과 대외부채 비중은 1994년 각각 20% 안팎에 불과했지만 2015년 70~80%로 급증했다. 환율 변동에 따라 대외자산과 대외부채의 가치가 변할 뿐 아니라 자본 유출입에 따른 자산가격 변동을 통해 소비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보다 커졌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한국의 대외자산·부채가 통화가치 변동 위험에 노출돼 있는 수준(순외환노출 효과)을 계량화해보니 2002년 10%에서 2014년 48%로 높아졌다”며 “이는 2014년 기준으로 원화가 1% 절하할 때 GDP의 0.48%만큼 대외자산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율의 자본 유출입 영향도 계량분석한 결과 환율 변화율이 클수록 자본 유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실증적으로 입증됐다”며 “이런 경향은 증권투자 측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났고 특히 채권투자는 더욱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환율 변화가 금융거래와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더 중요해질 것”이라며 “정부는 정책적 의사결정을 할 때 대외자산·부채의 부문별 구성과 통화 비중을 토대로 한 금융실효환율지수를 참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