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레저용 드론은 중국이 선점…"한국, 대당 수억원대 산업용 드론 키운다"
“기술력이 없는 게 아니라 시장이 없습니다.”(드론 제조업체 A사 대표)

국내 드론(무인항공기) 개발·제조업체들의 위기의식은 컸다. 중국의 DJI(드론 제조업체)가 민간 드론시장을 선점하고 미국 아마존, 독일 DHL 등 유통업체들이 드론 택배를 선보이는데 국내 업체들은 설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가 마련 중인 드론산업 활성화 종합대책은 이 같은 위기의식에서 비롯됐다. 정부는 그동안 드론산업의 규제 개혁에 방점을 뒀다. 국토교통부는 연초부터 20여 차례의 기업간담회, 현장방문 등을 통해 규제 개혁을 추진했다. 지난 7월엔 드론사용 사업 범위를 사실상 모든 분야에 허용하고 소형 드론을 활용한 사업자의 자본금 납입 의무를 면제하도록 했다. 비행고도·속도제한 등의 규제도 미국, 중국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풀었다.

하지만 정부는 드론산업을 육성하려면 무엇보다 수요 확대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첫 단추가 공공분야에서 선제적으로 드론을 도입하는 것이다. 중국 DJI가 대당 100만~200만원짜리 취미·레저용 드론시장을 선점한 만큼 국내 업체들은 대당 5000만~수억원대의 산업용 드론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공공드론 시장에는 △건설(토지보상 단계의 항공촬영) △산림보호(소나무 재선충 피해조사) △에너지(송전선·철탑 안전점검) △수색 정찰(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실종자 수색) 등의 분야가 있다. 유인 항공기를 쓰는 것보다 50% 이상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정부 측의 설명이다. 정부 관계자는 “연말부터 드론 도입 가능성이 높은 공공 분야를 선정해 컨설팅하고 비행테스트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내년 드론산업 지원예산으로144억원을 책정했다. 150m 이하의 저고도에서 드론 운행을 관리하는 ‘저고도 무인기 교통관리 체계’ 등의 연구가 추진된다.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구축(40억원) 및 드론 안전·활성화지원(9억원) 등도 포함됐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