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부터 전 세계 모든 선박에 강화된 황산화물 배출가스 규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경제성이 떨어지고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노후 선박을 중심으로 전 세계 선박 10%가량이 교체될 것으로 보여 ‘수주절벽’을 겪고 있는 국내 조선업계에 수혜가 예상된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IMO회원국은 2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회의를 갖고 2020년부터 기존 선박 연료(벙커C유)의 황함유량을 7분의 1수준으로 떨어뜨린 저유황유(MGO) 사용을 모든 선박에 의무화하기로 합의했다. 선박에서 나오는 황산화물은 각국 항만에 심각한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고 천식, 만성호흡기 질환 등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벙커C유(황함유량 3.5%)를 써온 대부분 선박들은 2020년부터 연료를 MGO(황함유량 0.5%)로 바꾸거나 벙커C유를 쓰더라도 탈황설비를 부착해 황산화물 배출가스를 줄여야한다. MGO는 벙커C유에 비해 2배 가량 비싸다. 선령 20년 이상의 노후선박을 가진 선사들의 경우 친환경 LNG 추진선으로 바꿀 가능성이 높다.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전체 선박수(상선)는 현재 9만2000척으로 2020년 선령 20년 이상되는 선박은 절반 가량인 4만6000척에 달한다. 이 가운데 실제 교체가 예상되는 선박은 전체의 10%에 육박하는 8000~9000척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강화된 황산화물 규제로 전체 선복량 12억GT(총톤수) 가운데 10%인 1억2000GT가 2년 사이에 교체 물량으로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세계적으로 친환경선박인 LNG추진선에 강점을 갖고 있는 국내 조선업체들은 오는 2017년 하반기부터 관련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LNG추진선 핵심 설비(재액화 시스템)에 강점을 갖고 있다. 지난 12일 유조선 4척을 수주한 삼성중공업은 발주사가 LNG 추진선으로 전환할 경우 세계 최초로 LNG추진 유조선을 건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전 세계 최초로 LNG추진 컨테이너선을 설계하는 등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규제로 MGO관련 설비가 부족한 국내 정유업체와 선박 건조 비용이 늘어나게된 해운사들은 타격이 우려된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