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한국대사관, 현지 업체·기관 대책회의 열어 대응책 모색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 '후폭풍'이 중국에 거세게 불어닥쳤다.

그렇지 않아도 움츠러든 대중수출에 또 다른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상하이(上海)·톈진(天津) 등 중국 주요 항구에서 한진해운 소속 선박 10여척이 오도 가도 못하는 처지에 놓여 한진해운 법정관리의 여파가 가시화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한진해운 선박 가운데 8척가량이 출항허가를 받지 못해 중국 항구에 묶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입항 허가를 받지 못해 해상 대기 중인 선박도 3~4척 정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허신망(和訊網)은 이날 "중국의 모든 항구가 한진해운 선박의 입항을 금지하고 컨테이너 하적을 받지 않고 있다"면서 톈진·선전(深천<土+川>)의 옌텐(鹽田)항 등이 한진해운 선박을 압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로인해 한진해운을 통해 화물운송을 중개한 운송대행(포워딩) 업체들이 화주의 적기 화물운송 요구를 맞추지 못해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현재로선 중국 내 항구 전체가 한진해운 소속 선박의 입항을 거부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상당수 항구에서 이런 움직임이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한진해운에 선박을 빌려준 용선주와 하역료·터미널 사용료를 받지 못한 벤더(제조 또는 판매업체), 선박 연료 공급업체, 중국 항만 당국이 한진해운 선박이 입출항을 막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주와 운송대행업체 뿐 아니라 항만 서비스업체들도 관련 비용을 받지 못해 노심초사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선박이 하역을 못 하면 수출·수입 업자들 간의 분쟁 발생 가능성과 컨테이너 야드(야적장) 압류 가능성도 있다"면서 "앞으로 컨테이너에 대한 자리확보 문제와 운임 상승 등 각종 문제가 계속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상하이(上海)의 한 관련업체 관계자는 "한진해운의 파산은 단기적으로 글로벌 해운업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선주와 항구, 운송대행업체, 트레일러 업체 등 연관 업종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가뜩이나 침체한 대중수출에 또 하나의 악재가 될 것이란 우려감도 퍼지고 있다.

한국의 전체수출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은 지난해 7월부터 지난 8월까지 1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부진한 상황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가 대중수출에 찬물을 끼얹는 사안임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진해운이 중국노선보다는 미주노선에 특화돼 있어 여파가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런 가운데 주중 한국대사관 등 중국 내 한국 공관에서는 한진해운 사태의 상황 파악에 주력하면서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중대사관은 1일 상무관 주재로 수출업체와 관계기관을 참석시킨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대사관 관계자는 "컨테이너 운송의 경우 해운업체뿐만 아니라 많은 협력업체가 함께 연관된 업종"이라면서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면서 본부의 지침을 받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홍제성 특파원 j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