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79% '가족관계' 요구…일부는 '혈액형·본적'까지
대기업 80%는 '어학점수·학점' 등 스펙 원해

대부분의 기업이 신입사원 채용 시 가족관계를 묻는 등 후진적 채용 관행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대기업일수록 어학 점수, 학점 등 '스펙'을 요구하는 비중이 높아 하루빨리 능력 중심 채용을 정착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용노동부와 대한상의는 518개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업 채용 관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입사지원서에서 직무능력과 무관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국내 기업들의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조사 대상 기업의 78.8%는 입사지원서에서 '가족관계'를 요구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채용 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 직업 등을 묻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 스스로 '흙수저' 논란을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입사지원서에서 '키·몸무게'를 묻는 기업도 13.7%에 달했다.

10.3%는 '혈액형', 9.1%는 '본적'을 묻기까지 했다.

지원자의 나이를 근거로 채용을 제한할 수 있는 '생년월일'을 묻는 기업도 95%에 이르렀다.

박명준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업들은 채용 시 가족관계, 키, 몸무게 등 개인 능력과 상관없는 사항을 절대 묻지 않는다"며 "이러한 인적사항을 묻는 기업은 차별금지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고 말했다.

어학 점수, 학점 등 스펙을 요구하는 기업도 대다수를 차지했다.

입사지원서에서 '학력'을 묻는 기업은 94%, '학점'을 요구하는 기업은 60.2%에 달했다.

어학 점수(49.4%)나 어학연수 여부(37.5%)를 묻는 기업도 상당수였다.

특히, 종업원 1천인 이상 대기업은 77.1%가 어학 점수를 요구해 300인 미만 중소기업(43.4%)보다 그 비중이 훨씬 높았다.

학점도 대기업(85.4%)이 중소기업(53.9%)보다 더 많이 요구했다.

어수봉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아직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직무와 무관한 스펙을 요구해 청년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며 "기업이 관행적으로 요구하는 일반 스펙은 과감하게 버리고, 직무능력을 우선해 더 많은 지원자에게 공평한 기회의 문을 열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 인턴 경력(60.6%)이나 공모전 입상(31.5%), 사회봉사(23.4%) 등을 요구하는 기업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예정인 기업(26%)도 지난해보다 크게 늘었다.

NCS는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을 부문 및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이다.

올해 대졸 구직자의 채용문은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신입사원을 주로 뽑는 공개채용을 하는 기업의 비중은 지난해 20.7%에서 올해 13.3%로 크게 줄었다.

올해 경력사원 위주의 수시채용을 하는 기업은 48.8%에 달했으며, 37.6%는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을 병행하겠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중복응답)으로 자격(54.9%), 학력(34.8%), 인턴경력(28.0%) 등을 꼽았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5.2%), 제조업(63.7%), 숙박·음식업(69.7%) 등에서 자격을 중요하게 여겼다.

대한상의 박종갑 공공사업본부장은 "스펙이 아닌 직무능력으로 직원을 선발한 기업에서 업무성과 향상과 조기 이직률 감소 등 긍정적 효과를 거뒀다"며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을 도입하고자 하는 중견·중소기업은 정부와 대한상의가 공동 지원하는 컨설팅과 교육을 활용하면 유용하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