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공약이 집행될 경우, 경제성장률과 일자리 증가율이 현 경제정책 적용 때보다 나아지겠지만, 재정적자 폭도 단기적으로 더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N방송 등은 29일(현지시간)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이끄는 분석팀이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클린턴 후보가 11월 대선에서 당선돼 경제·세제·이민 공약이 집행될 경우, 집권 기간 1천4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길 것으로 예견했다.

이는 지금의 경제정책이 그대로 시행되는 상황에서 창출이 예상되는 일자리 수보다 320만 개 많은 것이다.

국내총생산(GDP)은 연평균 2.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역시 현시점에서의 예상치 2.3%보다 높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민자 유입으로 숙련된 노동력이 확보되고, 인프라 등에 대한 정부의 투자 확대로 산업 생산성이 높아지며, 노동자에 대한 유급휴가 확대로 고용 상황이 나아진다는 요지다.

최대 수혜 계층은 중산층 이하 서민으로 예상됐다.

납세 부담이 늘지 않은 상태에서 재정지출 확대와 경제성장률 증가의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반면 고소득 가구의 세금 부담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클린턴 후보는 연소득 200만 달러 이상 가구에 대해서는 최소 30%의 실효 세율을 부과하며, 500만 달러 이상 가구에는 4%의 부가세를 매기며, 동시에 법인세제도 변경해 사회간접자본 투자 비용을 조달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보고서는 클린턴이 임기를 끝내는 2020년에는 정부의 재정적자 규모가 현시점의 예측치보다 다소 높은 GDP의 4.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최저임금을 점진적으로 12달러까지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65만 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무디스 보고서는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의 공약도 분석하고, 그의 집권 시 미국 경제는 자칫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에 의한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심한 침체를 겪을 수도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뉴욕연합뉴스) 김화영 특파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