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목표치 하회 1.6%·글로벌 성장둔화 등 맞물려 9월 이후로 미룰듯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정례회의가 26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올들어 5번째 회의를 이날 오전 9시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다수의 전문가는 이번 회의에서도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물가상승에 대한 확신 결여 등으로 인해 현 기준금리인 0.25%∼0.5%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의 주요 물가지표인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난 1월과 2월 1.7%를 기록한 뒤 3월부터는 계속 1.6%에 머물고 있다.

물가 목표치인 2%를 밑돌아 연준으로서는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을 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풀이된다.

앞서 연준은 지난 13일 발표한 경기동향 보고서 '베이지북'에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제 활동이 계속해서 완만하게 확장됐다"며 "그러나 물가상승 압력은 여전히 미미했다"고 지적했다.

베이지북이 FOMC 정례회의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다만 지난 6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가 예상을 크게 웃도는 28만7천 개로 발표되면서 미국 내 고용부진 우려는 대체로 사라졌다.

폭스 비즈니스는 "낙관적인 고용 실적과 글로벌 성장의 둔화, 인플레이션을 위협하는 역풍 등을 놓고 연준이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관건"이라면서도 금리인상은 9월 이후로 미뤄졌다고 내다봤다.

미 언론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가 동결되면 남은 9월, 11월, 12월 3차례의 회의가 남았으며 이 기간 1∼2차례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연준이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해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면서 올해 4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을 예고한데 비하면 상당히 후퇴한 것이다.

그러나 11월 회의는 대선 일주일 전이어서 금리인상이 취해질 가능성이 작다.

또 11월 8일 대선까지는 금리인상이 아예 단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이 때문에 올해 금리인상은 12월 1차례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연준은 FOMC 회의결과를 27일 오후 2시 발표한다.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