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등 불안한 대외여건에 하반기 경제성장률 하락"

한국경제연구원(KERI)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 발표했던 2.6%보다 0.3%포인트 낮은 2.3%로 하향 조정했다.

한경연은 29일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2016년 2/4분기' 보고서를 통해 "경제성장률은 상반기 2.7%에서 하반기 1.9%로 하락해 연간 2.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2016년 경제성장률을 0.3%포인트 낮춘 이유에 대해 "연초 이후 중국 경제둔화와 미국 금리 인상 불확실성 등 불안한 대외여건이 이어져 온 가운데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리스크가 추가되면서 하반기 성장률이 1%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대내적인 경기 진작 정책으로 성장 둔화가 일부 상쇄될 수는 있겠지만, 여소야대 국회, 주요산업 구조조정 추진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정책 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경연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 1.4%보다 0.2%포인트 낮은 1.2%로 하향 조정했다.

하반기 들어 원·달러 환율 상승,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소폭 상승하겠지만, 연간 기준으로는 기존 전망보다 낮을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또, 경상수지는 지난해 1천59달러 흑자에서 올해 991억 달러 흑자로 소폭 감소한 가운데 수출(-4.6%)보다 수입(-5.4%)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는 '불황형 흑자'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됐다.

원·달러 환율은 브렉시트 발생으로 인한 국제 금융시장 불안의 영향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하면서 연간 1천191원의 절차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시장금리(회사채 AA-, 3년)는 브렉시트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 지연, 한국 기준금리 인하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하반기에 하락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경연은 한국 경제가 경기 재하강 국면으로 진입할 우려가 크다며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단기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1996년부터 2013년까지 총 4차례 경기변동 국면이 나타났는데, 각 기간에서 우리 경제가 경기저점을 통과한 이후 3년 동안 장기추세성장률은 평균 14.4%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가장 최근의 경기저점 시기인 2013년 1분기 이후 올해 1분기까지 장기추세성장률은 8.9%로 나타나 이전 경기변동 기간의 60%에 불과했다.

한경연은 "결과적으로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변양규 거시연구실장은 "2013년 1분기를 기점으로 한국 경제가 저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2015년 4분기부터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 경기 재하강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세계 경기가 다시 회복세를 보일 때까지 추경을 포함한 단기적, 일시적 정책과 체질개선을 위한 장기적인 경쟁력 제고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yjkim84@yna.co.kr